허술한 방역이 부른 구제역
 
강화군이 구제역으로 초비상이다.

올들어 포천에서 3개월간 지속됐던 구제역 종식 보름여 만에 다시 발생한 강화군 사태는 당국의 가축전염병 방역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말해 준다.

지난 8일 강화군 선원면 농가에서 처음 발생한 뒤 사흘만에 선원면과 불은면 일대 농가 5곳에서 구제역이 늘어날 정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구제역 위기경보가 '주의'를 넘어 '경계'로 사상 처음 발령된 위급상황이다.

살처분된 가축이 2만8천750마리로 강화군 전체 가축의 36.6%에 해당한다. 얼마나 더 확산될지 예측할 수도 없다.

강화군과 방역당국은 발생농가 3km 이내의 가축을 살처분하고 확산차단을 위한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문제는 구제역의 70% 이상이 감염된 축산품과 물건을 운반하면서 전파된다는 점에서 이번 구제역은 방역당국의 허술한 방역망이 자초한 셈이다.

구제역이 확산되지 않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역체계가 급선무다.

인천시가 구제역 방역대책본부를 가동, 방역당국과 강화군을 비롯, 10개 군구를 대상으로 임상관찰, 소독 등 방역을 벌이고 있는 모양이다.

정부 수립 이래 최초로 발령된 구제역 경계경보이기에 비상시국이라 할만큼 확산예방이 급박하다.

구제역은 신고와 방역 외에 특별한 예방방법이 없다.

철저한 감염경로를 추적해 방역하고 예방적 살처분 등이 시급하다.

살처분도 세심하게 해야 한다.

당국은 강화군내 827개 축산농가에 방역을 실시하고 27개소의 이동통제소를 설치, 통행차량에 대한 소독이 강화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감염로 파악이 중요하다.

첫 발병농가 주인이 지난달 해외여행을 다녀왔고, 중국산 사료를 쓰고 있어 방역당국이 관련성을 조사하고 있다고 한다.

황사에 의한 전염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철저히 조사해야 할 것이다.

구제역은 감염잠복기간이 2주일 가량 돼 조기발견도 어렵다.

여기에 폐사율이 높아 철저히 예방해야 할 이유다.

지금 강화군 축산농민들은 자식처럼 키워온 가축의 살처분에 억장이 무너지고 있다.

하루속히 구제역을 종식시키는 일만이 이들을 위로하는 길이다.

 
 
온난화 방지는 선택 아닌 필수

성남시가 지난해 탄소포인트 제도 시행으로 소나무 3만2천200여 그루를 심는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시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탄소포인트 제도를 도입해 추진한 결과, 2천950가구가 참여해 161t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했다는 것이다.



탄소포인트 제도는 가정과 건물 등이 일정 기간 절감한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을 온실가스(이산화탄소) 감축분으로 환산해 포인트를 지급하고 정해진 액수로 환산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이다.

다시 말해 탄소포인트 제도는 에너지 절약을 통한 지구온난화 방지책의 일환으로 국민 개개인이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본보도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발 맞춰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연중 기획으로 '온실가스를 줄이자'는 환경 캠페인을 야심차게 펼치고 있다.

이같은 본보의 환경캠페인에 해당 부처인 지식경제부와 경기도, 인천시가 가 공동 기획으로 참여하고 있고 경기도 31개 시·군과 에너지관리공단, 경기중소기업청과 경기교육청 등이 적극 동참하고 있다.




또 기업에서도 삼성을 비롯해서 포스크, 쌍용자동차 외에도 농협, 신한은행 등 금융권까지 후원에 나서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은 이제 단순히 기후 변화 차원을 넘어 우리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는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를 비롯해서 바다와 내륙의 생태계 마저 급변하게 하고 있다.

정부도 이 같은 심각성을 인식해 올 1월 13일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공포하고 온실가스 감축과 녹색성장을 전담하는 '녹색성장위원회'를 만들어 다각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이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줄이기는 정부와 관련이 있는 몇 몇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의무요 책임이다.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 수행과 모든 사람들의 참여와 관심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