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경제의 최대 현안인 공장부지 문제를 해결할 '인천지역 공장부지대책협의회'가 어제 창립했다. 특히 이 모임체는 기업체들이 자신들의 애로 사항을 놓고 행정기관의 대책 강구만을 바라던 종래의 수동적 자세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구책을 모색키 위해 구성됐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공장 부지난은 인천만의 과제는 아니다. 정부가 수도권정비법을 앞세워 공업용지의 확대를 규제하면서 현재 수도권 전 지역이 공장부지 문제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그렇지만 인천은 예서 그치지 않는다. 정부 규제 외에도 자치단체가 개발시책을 무분별하게 추진하면서 공장 부지난은 여느 지역과 달리 2, 3중으로 가중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실제 각종 도시개발사업 시행과 관련해서 인천시로부터 이전을 명령받아 당장 현재의 공장 터를 떠나야 하는 업체가 2천여개에 이른다. 아직 명령은 받지 않았지만 이전이 예정돼 있는 대상까지 포함한다면 수년 내에 공장을 옮겨야 하는 기업체수는 물경 5천개가 넘는다. 전체 제조업체의 절반 가까이가 공장부지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기업들이 설령 인천시의 이같은 이전 명령을 따르려 해도 대안 마련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우선 원자재 조달, 판로 등으로 인해 수도권을 벗어나기는 힘들다. 그렇다고 인천에 계속 머무를 수도 없다. 적정가격의 이전지를 확보하기가 용이치 않기 때문이다. 해당 기업으로서는 진퇴양난의 상황인 것이다.

지역경제계 안팎에서 비판의 소리가 높아지자 인천시도 무분별한 기업이전 자제를 공언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우선 공무원들의 의식이 개발선호로 너무 치우쳐 있어 기업들이 원하는 답이 나오기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난망하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인들이 직접 애로해결에 나섰으니 계획대로 추진만 된다면 행정기관이 마련하는 것보다 더 실효 있는 대책이 강구될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 행정기관의 전폭적인 협조와 지원이 전제돼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인천시가 특히 명심해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