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의 주먹구구식 일처리가 중앙대 인천캠퍼스 유치작업에서도 그대로 재연되고 있는 듯하다. 인천시가 중앙대를 유치한다는 사실은 말마따나 시청 내부에선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외부의 거듭된 확인요청에도 공식행사 때까지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기 힘들다는 게 시 관계자들의 설명이었다.
그렇지만 지난 22일 양해각서까지 체결했건만 서구 검단에 인천캠퍼스를 조성한다는 것 뿐 인천캠퍼스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양측 모두 정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인천시만 뒤늦게 '이공 계열 이전' 운운하고 있지만 이 역시 희망사항일 따름이다.
그런데도 인천시는 이전부지를 저가에 주는 원형지 공급방식으로 제공키로 했다. 이대로 된다면 할애부지 66만㎡를 ㎡ 당 10만원씩만 싸게 줘도 중앙대, 즉 두산그룹이 받는 수혜폭은 수백억원 대에 이른다. 문제는 이를 인천시민들이 고스란히 부담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연세대 송도캠퍼스의 재판이 될 공산이 크다.
검단신도시 토지수용 주민의 보상방식과 비교해도 형평이 맞지 않는다. 검단신도시 시행기관인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인천시는 현재 재원이 없다는 이유로 땅값을 채권으로 보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역차별 논란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이른바 연세대 송도캠퍼스 사태는 현 자치단체장의 재선을 앞두고 부진한 외자유치 실적을 만회하려 캠퍼스 이전내용도 확정하지 않은 채 저가로 부지를 공급해 지금까지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사안이다. 이에 견줘 이번 중앙대 인천캠퍼스 유치 건도 시기적으로나 그 내용 면에서 연세대 송도캠퍼스의 재판 논란과 더불어 인천시의 선거개입 시비를 부를 가능성도 배제키 힘들다.
인천시는 중앙대 인천캠퍼스 유치발표 후 고조되고 있는 특혜논란을 불식하려면 무엇보다 우선 인천캠퍼스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부터 밝혀야 한다. 뿐만 아니라 원형지 공급과 관련해 시민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도 서둘러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양해각서 체결 후 고조되고 있는 서구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방법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