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전입인구가 급격히 줄고 있는 것은 보통 심각한 얘기가 아니다.

그렇다고 노인들만 남겨 놓고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나는 농촌지역이라면 이해가 된다.

동북아의 허브도시를 일구겠다며 인구 300만 시대를 기대했던 것이 오히려 줄어들고 있으니 인천시만의 걱정이 아니다.

인구늘리기는 어느 지자체건 중요과제다.

출산율 저하가 국가적 문제로 대두된 상황이기에 인천의 전입인구 감소는 그만큼 시세의 쇠퇴를 의미한다. '인천에서 살고 싶다'는 정주환경 개선이 뒤지고 있는 이유다.

지난해 국내이동인구 추이를 보면 인천에 새 삶을 차린 인구는 47만8천명이며, 인천을 떠난 시민은 47만6천명으로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증가자는 약 2천명 정도다.

그러나 이 수치가 최근 몇년간 인천을 찾은 인구증가에 비해 계속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심각성을 더 하고 있다.

지난 2008년 인천의 전입인구는 56만6천명이고, 전출자는 55만6천명으로 순증가자는 1만명에 이르렀다.

그랬던 것이 지난해는 전년대비 20%에 그쳤다.


하지만 타지역에서 인천을 찾은 인구는 지난 2005년 1만1천명, 2006년 1만명, 2007년에는 무려 2만3천명으로 정점을 이뤘다가 지난 2008년에 1만명으로 뚝 떨어졌다.

그나마 2009년에는 겨우 순증가인구 2천명이 전부다.

이대로 가다간 전입인구를 추월하는 인구감소 사태가 초읽기에 들어간 셈이다.

인접한 경기도는 지난해 9만4천명이 늘었다고 한다. 인천을 떠난 시민의 절반 정도가 경기도(44.8%)를 찾았다.

인천시는 "지난해 경기불황으로 전입인구가 줄었다"는 허무맹랑한 분석을 늘어놓고 있다.

어불성설이다.

시 논리대로라면 불경기가 인천에만 불고, 경기도는 호황이었단 말인가.

인구변동은 지역 정주환경의 지표다.

여건이 개선되면 늘어나고, 반대일 경우 줄어드는 게 인구다.

외지인을 매혹할 수 있는 특화된 도시를 만드는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

환경오염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고 문화적 ?꼭?질을 높여야 한다.

현실적으론 노동시장, 일터를 확대할 때 사람이 따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