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반부터 사업 밑그림 구상
경제 불황·공모 무산 등 이유 좌절 연속
'제물포 르네상스' 연계 경자구역 추진
▲ 인천역은 좀처럼 찾을 수 없는 두단식 승강장을 고수하고 있다. 동인천역까지만 이뤄진 복복선도 못했다.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는 인천역은 제2공항철도와 수인분당선 이용, 인천발·경강선 KTX 등 굵직한 사업에서 사업성 부족으로 연달아 미끄러졌다. 사진은 종착역을 나타내는 두단식 승강장의 모습이다. 
▲ 인천역 모습.

“인천역의 장소성·역사성을 살려, 공공장소로서 이미지(랜드마크·landmark)를 확보할 수 있다.”

딱 20년 전 인천연구원(당시 인천발전연구원)이 내놓은 인천역 정비사업의 방향이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지금껏 인천역은 정비는커녕, '실패'라는 오명만을 남겼다. 개발이 비켜 간 인천역,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나.

 

인천시는 인천역을 비롯해 내항과 주변 일대에 걸쳐 '제물포르네상스' 추진을 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진행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시는 이달 중 '제물포르네상스 마스터플랜'을 통한 내항 기본구상을 세울 방침으로 하버시티 건설과 원도심 발전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방침이다. 제물포 경제자유구역은 중구 항동 일원 6.06㎢(해수면 면적 2.76㎢ 제외)로, 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사전경관계획, 경제성검토, 광역교통개선대책 등을 이번 용역에 담을 방침이다.

시가 인천역 일대 원도심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란 특단의 대책을 내놓은 이유는 뻔하다. 그동안 인천역세권개발이 끊임없이 실패했기 때문이다.

인천연구원은 당시 “인천역 주변 개발계획은 향후 인천을 동북아 중심이 될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도시로 탈바꿈하게 할 중요한 기반시설”이라며 “인천역 주변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친환경·문화지역으로 시민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이 즐겨찾는 쇼핑거리, 휴식처, 교류의 광장 등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역 개발 시도는 2000년대 초반까지 거슬러 오른다. '인천역 주변 재정비촉진지구'는 당시 경제 불황과 맞물리며 좌초됐고, 이후 철도청이 '국유철도의 운영에 관한 특례법 및 시행령'과 '출자사업업무처리규정'을 바탕으로 인천역과 연계한 역사민자개발사업을 벌였다. 시 역시 2015년 '인천 개항 창조도시 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철도청과 맺으며 민자사업 공모 등을 함께 하기로 했다. 당시 시민들은 민자사업을 통해 반세기 넘게 근·현대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한 '인천역'이 헐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하지만 민자사업 공모에는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고, 인천역 철거 위기는 사라졌다. 다행히 근·현대문화유산 보전 인식이 커지며, 서울역, 신촌역 등 오래된 역사를 남기고 인근에 민자역사를 새로 건설하는 등의 사업이 진행됐다.

인천역 역세권개발은 제물포르네상스 정책과 경인선지하화 등과 맞물리며 새로운 전기를 맞았고, 역 앞 우회고가가 철거되며 바다가 탁 트이게 됐다. 그러나 인근 공장과 노후화된 주택 등을 현대화하기 위한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은 아직 세워지지조차 못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역 등 내항과 연계한 제물포르네상스 정책은 아직 구체화하지 않았지만, 현실화를 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이 늦어도 2025년쯤이면 결판이 날 것”이라고 말했고,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측은 “인천역세권 개발은 여전히 민자사업을 바탕으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인천역 주변 개발 앞날은] (하) 현대화, 선택 아닌 필수…관광명소로 탈바꿈해야

/이주영·이아진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최상의 선택"…멈춰 선 인천역에 인천시가 꺼낸 비장의 카드 [인천역 주변 개발 앞날은] 인천역과 주변 개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구조적 모순에 절름발이인 인천역을 현대화해 정체된(종점) 곳이 아닌 활력(환승 등)이 넘치는 곳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사람이 찾는 인천역, 시민과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 인천역으로 바꿔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꿈에서 멈춘 인천역과 주변개발.20년 전 인천역과 주변개발 구상을 끄집어냈다.인천연구원이 그려낸 인천역과 주변개발 방향은 원도심 역사·문화와 첨단이 어우러진 도시공간이다.인천역 반경 300m와 1800m로 공간을 나눠 시와 철도청, 민간사업자의 역할과 인천역 주변정비 기본구상 등이 "'최초'·'탄생지'로 주목받던 전 여전히 19세기에 있습니다" [인천역은 달리고 싶다] 인천역. 올해로 124년 됐다. '최초'라는 수식어는 '구식'을 벗어나지 못했다. 인천역은 개통 후 역사가 옮기거나 철길이 이동하지 않았다. 현 역사는 이미 반세기를 훌쩍 넘겼지만, 발전은커녕 변함없다. 현대화 손길이 비껴가며 철길이 뻗질 못해, 인천역은 '움직'이는 곳에서 '멈춘' 곳이 됐다. 인천역이 황폐해지며 주변 또한 도시 공동화를 겪으며 역세권개발조차 험로를 걷고 있다. 하루 1만명도 찾지 않아 철길 현대화가 안 되고, 그 때문에 누구 하나 역세권 되살리기를 주저한다 [인천역은 달리고 싶다] (상) 종착역=인천역…벗어날 출구 어디에 “이번 역은 우리 열차의 종착역인 '인천, 인천역' 입니다.”어김없이 '끝'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나온다. 승객들이 부랴부랴 짐을 꾸려 흩어진다. 수인분당선을 타려면 환승해야 한다. 월미도를 가고 싶다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비싼 값을 지불하고 월미은하바다열차를 타야 한다. 그 이상 갈 곳은 없다. ▲미완의 철마, 인천역인천역은 근대화 기수였다. 일제강점기까지 아시아 최고의 항구였던 인천항은 인천역이 있음으로써 각종 화물의 수·출입이 가능했다.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고 서울로 향하는 제1공항철도(인천국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