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개항 직전까지만 해도 지금의 서구 및 계양구 일대 해안지역에서 소금을 직접 일궈냈던 생산지(신증동국여지승람 참조)인데다 국내 최대의 소금 생산지였던 소래·군자 등 경기도 남양지방을 인근에 두고 있어 소금조달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당시 소금생산업은 주요 산업인 농업과 어업의 부업격에 불과해 생산설비가 미흡했고 소작경영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더구나 바닷물을 열로 가열, 증발시켜 얻는 전오 염전방식이어서 값싸고 순도 높은 암염을 생산하던 청국산 소금과 경쟁이 되지 못했다.
 또 당시 인천 거주 일본인들은 인구가 집중되자 재제염업체 설립을 서둘러, 1908년 인천제염소 등 6개 업체가 생겼는데 모두 중국 산둥염과 관동염 대만염을 주재료로 쓰고 있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우리 정부는 외국산 소금 수입방지와 재정보전을 위해 1907년 염세 규정을 제정하고 새로운 소금제조법 개발에 나섰다. 그리고 소금제조 경제성을 비교하기 위해 1907년 일본인 기사 도움을 받아 인천시내 주안부근에 천일염전을, 부산시내에 전오염전을 각각 축조했다. 그 결과 천일염 생산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와 우리 정부는 소금 생산 방식을 천일염으로 전환했다. 이 때부터 우리나라도 실험용으로 축조된 주안염전을 시발로 천일염시대가 열린 것이다.
 정부는 직영으로 천일염전을 세차례에 걸쳐 확대했다. 1차계획으로 1909년부터 1914년까지 주안에 88정보, 평남 광양만에 770정보의 염전을 축조했다. 2차계획으로 평남 덕동에 223정보, 주안에 124정보의 염전이 완성됐다. 3차계획으로 1924년 인천 남동 지역에 300정보 등 전국 각지 염전이 확장됐다. 이로써 주안 염전 출장소관할지였던 주안·남동·군자지역에는 모두 1천1백15정보의 염전이 확충됐고 이 지역 소금생산량은 국내 2위로 국내 총수요량의 50%가 넘는 15만여t으로 늘어났다.
 한편 1930년대 말에 들어 전쟁이 확대되고 물자가 부족해지자 1942년 조선염 전매령을 공포하고 소금에 대한 전매제도를 시행했다. 이 제도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되다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정책이 실시되고 천일염전들이 공업지역으로 변모하면서 1970년대 들어 폐지되었고 이후 소금생산은 민영화되었다.
 그러나 자연산 소금은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공업화로 인해 재제염이 득세하면서 점차 설 땅을 잃고 지금은 명맥만 유지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