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인천일보에 인천항의 공동화 현상을 우려하는 사설이 실렸고 4일부터는 `흔들리는 인천항""이라는 기획기사가 연재되고 있다.
 IMF사태 이후 침체되기 시작한 인천의 항만산업은 평택항의 개항으로 더욱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인천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그 우려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인천 시민들에게 인천항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 1883년 개항 직후 인천항은 외래 문명의 기착지인 동시에 문명 전파의 중심지로, 6·25 당시에는 UN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대한민국의 주권과 자유민주주의 수호의 보루로, 경제 부흥기에는 수출의 전초기지로 그 역할을 다해왔다.
 인천 시민들의 피와 땀과 애환이 서린 곳이 인천항인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인천항은 그야말로 침체일로를 걷고 있다.
 96년 5대 국책사업의 하나로 선정된 평택항 개발사업이 `무한경쟁시대에 대비한 Two-Port 시스템으로 전환""이라는 본래의 취지를 무색케하며 오히려 인천항을 위협하는 경쟁상대로 부상하고 있으며, 현 정부의 계속적인 인천홀대 정책은 인천항의 쇠락을 가속화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개항으로 인천항이 동북아 물류중심기지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은 시대적 요구다. 그 소명을 완수하기 위해 북항개발은 반드시 선행되야 한다. 인천북항 개발을 뒷전으로 미루고 경쟁항을 육성하는 것은 항만과 공항의 유기적 연결로 창출할 수 있는 엄청난 부가가치를 포기하는 동시에 엉뚱한 곳에 국민의 혈세를 쏟아붓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정부는 인식해야 한다.
 더불어 기왕에 개발사업을 시작한 평택항과는 경쟁관계를 조성하기 보다는 상호 유기적인 협조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정부는 인천과 평택항이 각자의 특색에 맞는 항만산업을 점진적으로 육성 발전시킬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항비면제 등 제 살깎기 식의 경쟁으로는 두 항만이 함께 공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항만 공사제 역시 정부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공사제 도입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자칫 재정적 기반이 취약한 채로 무리하게 도입된다면 운영적자 누적으로 아니한 만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얼마전 해양수산부는 기존의 민자중심 항만개발계획을 전면 수정, 10여년간 국비 37조원을 투입하겠다는 수정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이 단순히 정치적 계산에 따른 여론호도용이 아닌, 기존과 신흥항만이 공존하며 세계와 경쟁하는 국가차원의 장기적인 항만발전 전략이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