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자체 보유 안해 민간업체에 촬영 의존 … 지적재조사 등 활용 미흡

경기도가 재난, 감시, 농업 분야 등에서 사용하는 드론(무인항공기)을 측량분야에서 충분히 활용하지 못해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는 수색, 지적재조사 등을 위해 민간업체 용역으로 드론 촬영을 하고 있지만, 각 부서별로 드론 촬영을 진행해 촬영 중복 발생 우려가 크고, 자료 공유도 미비해 도 자체 드론 구입과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경기도와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도는 현재 약 1억3000억원이 소요되는 드론(측량용 고정익 1기, 영상용 회전익 1기) 구입 문제와 드론 업무 협업분야의 확대, 드론 촬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 도는 현재 자체 보유 드론이 없는 상태며, 드론이 필요한 업무에는 관련 업체에 의존하고 있다.

경기도는 여러 분야에서 드론을 활용한 바 있다. 경기 평택경찰서는 지난 3월 계모의 학대로 숨진 신원영(7)군의 실종 사건 때 드론을 투입, 평택 야산과 해안을 수색한 바 있다. 또 남부지방경찰청은 안산 대부도 시신 수색에서 인력투입이 어려운 곳에 드론을 보내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농업기술원은 과수농가 병해충 방제 드론 개발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재난, 감시, 농업 분야 활용 외에 공유지 관리, 입지분석 등 공간정보 및 측량분야는 비교적 그 활용이 적다는 분석이다.

이에 도는 구입한 드론으로 직접 촬영한 뒤 해당 데이터를 관리시스템에 축적하면 타 부서에서도 활용 가능하고, 촬영 중복 발생이 없어지는 프로세스 구축을 논의 중이다.

특히 도에서 운영 중인 '경기도 부동산포털'의 서버를 활용하면 약 3~4억원이 필요한 관리시스템 구축 비용을 비예산 수준으로 낮출 수 있고, 지적도와 영상을 가공해 실시간 및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그린벨트 지역의 훼손 여부나 수해 침수 면적, 토지 경계 면적 등 여러 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도는 1㎢당 촬영 비용 730만원 정도 들어가는 업체 용역과 비교해 드론 구입 또는 임대에 대한 경제성을 비교분석 중이다.

고정익 구입의 경우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7~8000만원 정도고, 회전익은 1000만원 이내에 구입할 수 있으며, 측량 분석 프로그램 구축에는 3~4000만원 정도가 들어간다.

실제 드론을 구입해 활용중인 전남도청 토지관리과는 드론 활용도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도청은 2015년 8월 5000만원대 드론을 구입, 3000여만원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동원해 1년 동안 100회 정도의 촬영을 했을 정도다. 보통 1회 용역으로 2000여만원씩 들어가는 비용을 충분히 절약하는 것이다. 드론 조종역시 담당 주무관이 직접하고 있다.

임여선 도 도시주택실 토지정보과 지적관리팀장은 "경기도의 드론 활용은 측량분야에서 미흡한 상황"이라며 "직접 구입해 데이터를 모으고 공유하면 업무 효율성과 비용 절감, 소요시간 단축 등에서 모두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경기연구원 상생경제연구실 배영임 박사는 "드론 활용은 측량 토지조사 분야에서 효율적이다. 데이터가 쌓이면 새로운 관리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며 "촬영 드론에서 가장 발전된 부분이 항공촬영이기 때문에 데이터 축적에 핵심이 될 것이다. 특히 측량은 민간보다 공공기관에서 리드하는 분야라 드론 활용이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최현호 기자 vadasz@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