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공기업 기구개편은 ▲유사기능 부서 통폐합 ▲지원부서 최소화 ▲사업부서 팀제 도입 ▲직원수 500명 미만인 법인의 상임감사제 폐지 등을 골격으로 정했다.

 또 공기업 제도개선 방안으로 임원의 정년을 관리직은 60세ㆍ일반직은 57세로 1년씩 단축하고, 명예ㆍ조기퇴직수당 신설, 임직원 공개채용, 계약제 및 연봉제 도입을 확산키로 했다.

 그러나 가장 관심을 모으는 부분은 인력 감축부분.

 시는 감축 범위를 지난 8일 발표된 행정자치부의 지방공사ㆍ공단 구조조정 권고(안)을 그대로 따랐다.

 인천의료원은 1인당 의업수입 기준과 공익기여도, 지하철공사는 노선 1㎞당 48명, 인천터미널은 주차장 3개소 민간위탁 추진, 주차시설관리공단은 노상주차장 1개소당 30인ㆍ노외주차장 2.5인을 조정 기준으로 삼았다.

 향후 감축 대상을 선정할 때도 폐지부서 인원을 우선 고려하되 강제 퇴출을 없애기 위해 명예ㆍ조기퇴직을 적극 권장키로 했다.

 시의 공기업 인원 감축비율(8.3%)은 전국의 22.8% 보다는 크게 낮다. 다만 주차시설관리공단의 경우 주차요원수를 크게 줄여 나머지 3개 공기업보다 감축률이 높은 편이다.

 시는 해당 공기업 노조와 협의를 거쳐 내년 2월까지 구조조정안을 매듭지을 방침이다.

 문제는 인원감축에 따른 노조의 반발을 어떻게 설득하느냐는 것.

 구조조정 대상 공기업 가운데 주차시설관리공단을 뺀 나머지 3곳이 노조가 설립돼 있는 상태. 이들 노조는 지난해 노ㆍ사ㆍ정 합의에서도 「수익성만을 고려한 구조조정은 결코 않겠다」는 합의를 받아낸 만큼 일방적인 구조조정은 반드시 막겠다는 각오다.

 가장 발빠르게 움직이는 노조는 인천의료원. 지방의료원 노조는 행정자치부의 지방공기업 구조조정안이 나오자 이에 대응키 위해 곧바로 전국 34개 지방공사의료원 전국지부장 대회를 갖고 「공공기업 구조조정대책위」를 구성했다. 노조는 아무리 사회분위기가 「감축」쪽으로 흐른다 해도 설득력 없는 조정안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자세다. 특히 지방의료원 노조는 상급단체인 민주노총과 합세, 조직적인 반발 움직임도 계획하고 있어 커다란 후유증이 예견된다.

 인천터미널과 지하철공사 노조는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그렇다고 이들 노조가 순순히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일 거라고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