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출마 후보자들간에 공명선거를 다짐하는 성명서와 서약식이 봇물을 이루고 있으나 정작 「돈으로 표를 사고 파는」 선거전에 익숙한 일선 운동원들과 유권자들 때문에 「돈쓰는 선거 풍토」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선거문화 개혁을 요구해 온 386세대들과 자금력이 달리는 선거초년병들은 선거조직 조차 제대로 가동하지 못한채 애를 먹고 있다.

 수원지역 출마자 P씨와 S씨는 「후보자가 문구류를 사는 비용마저 직접 결재한다」, 「후보자 친인척이 자금을 쥐고 풀지 않는다」는 등의 악성 루머에 시달리며 운동원들의 동요를 막느라 곤욕을 치뤄야 했다.

 초반 인지도가 오르지 않아 부심했던 동부권 출마자 J씨는 「후보자가 돈이 없다」는 이유로 전 지구당 조직원들이 합류하지 않자 중앙당 선거전문요원들 사이에서 조차 「가능성 없는 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하지만 J씨는 그나마 남아있는 운동원들마저 이탈할 것을 염려해 실상을 털어 놓지도 못한 채 『필요할 때 돈을 푼다』는 식의 「돈 있는 척」 하느라 마음 고생에 시달리고 있다.

 초반 열세를 만회하고 오차한계 범위까지 상대후보를 따라 잡은 S후보 진영에서는 막강한 후원회장이 합류하자 윤곽조차 잡히지 않던 하부조직이 한순간에 틀을 잡고 자금이 내려오기만 고대하고 있다.

 이처럼 선거운동원들이 돈선거에 익숙해 있는 것은 「입당원서 한 장당 얼마, 선심 관광버스 한대에 얼마」라는 식의 구태를 벗어나지 못한데다 겉으로는 초연한 척 하면서도 선거때만 되면 은근히 향응을 기대하는 유권자들의 의식이 사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총선연대 한옥자 공동회장은 『돈을 쓰면 반드시 떨어진다는 정치인들의 의식전환과 함께 정치문화 개혁을 위해 절대 금품이나 향응을 받지 않겠다는 유권자들의 사고가 자리를 잡지 않는 한 낡고 썩어빠진 선거풍토는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총선 특별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