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실적 상승 불구 지연
 인천항의 실적 상승에도 불구하고 신항 건설 일정이 늦어질 지 모른다는 소식(본보 28일 6·7면, 29일 6면 보도)에 지역사회 곳곳에서 인천신항 건설의 당위성과 배경 등을 다시 한번 짚어보자는 논의가 활발하다.
 특히 최근 본보 보도로 이 소식을 접한 인천항 주변 유관기관과 업·단체,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또 다시 정부와의 예산 배정 싸움에 나서야 하는거냐’는 수군거림도 들리고 있다.
 이 사업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게 아니며 인천항 안팎과 지역사회의 오랜 노력과 투쟁으로 쟁취해 낸 숙원사업이란 점에서다.
 그 근거로 제일 먼저 나오는 얘기는 2004년 말 완료된 전국항만물동량예측치 발표가 뚜렷한 이유 없이 작년 2월까지 미뤄지면서 불거졌던 ‘인천항 물동량 예측치 축소 논란’이다.
 인천의 강력한 문제제기와 반발에 부닥친 해양수산부가 용역 재검토까지 거쳤던 이 사안은 그해 11월에 2011년 인천항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305만5천TEU 전망치가 나오고 해양수산부가 이를 전국무역항기본계획 수립에 반영하기로 하면서 수그러들었다.(2005년 11월 15일 1면)
 2004년에 인천과 중앙정부가 인천신항이 들어설 송도국제도시와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인천대교의 주경간폭을 두고 벌였던 대립 사례도 거론된다.
 지역 각계각층이 참가한 범시민대책위원회와 정부가 교각폭 800m에 합의(2004년 12월 18일 1면)하면서, 장승우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은 개성공단 물동량 추정치를 포함한 인천항 광역개발계획 수립 방침을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도 이런 전후사정을 감안해 최근 인천신항 컨테이너 선석 수를 9개에서 12개로 늘린 ‘전국무역항기본계획 정비 용역안’을 발표(6월 27일 7면)하면서 최근 들어서는 오히려 신항 건설에 대한 걱정은 수그러든 상태였기에 이번 소식의 파장이 더 만만찮다.
 인천경실련 김송원 사무국장은 “인천신항 건설 사업은 단순히 지역 이기주의 차원의 요구가 아니라 충분한 논리와 근거를 둘러싼 싸움을 통해 결정된 사안”이라며 “정부가 인천신항 적기 건설을 위해 필요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큰 반발에 부딪칠 것”이라고 말했다. /송영휘기자 (블로그)ywsong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