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심각한 현안 가운데 하나가 노숙자 문제다. 지난해 불어난 노숙자들의 보호와 자활대책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으나 별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겨울철 凍死(동사)등 인명사고를 막기위한 집단수용이나 무료급식 확대등 단기대책이 고작이다. 지원대책마저 부실해 노숙자쉼터 등 수용시설의 운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이고 보다 실효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지금 우리나라의 노숙자수는 대략 3천9백여명으로 추산된다. 인천시내 5개 노숙자쉼터에도 127명이 수용되어 있다. 노숙자쉼터는 대부분 운영비의 70%를 시비지원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올해는 지원예산마저 대폭 축소돼 운영단체들의 걱정이 태산같다. 지난해 인천시내 5개 노숙자쉼터에 2억1천여만원이 지원됐으나 올해 책정된 예산은 1억7천만원에 불과해 노숙자쉼터 운영난이 불가피하다. 그렇게되면 또다시 공원ㆍ전철역 등지의 노숙생활로 되돌아 갈 것이 뻔하다.

 노숙자들은 국제통화기금(IMF) 한파이후 경제난으로 기업이 무더기로 도산하고 대량실업으로 부득이 집을 뛰쳐나올 수밖에 없는 절박한 사연을 지닌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중에는 사업을 하다 부도가 나 채권자들을 피해 방황하거나 가정에서 조차 외면당해 가출한 가장도 적지않다. 때문에 신분노출을 꺼리고 있으며 제약이 많은 보호시설에 입소하기를 기피하고 있다. 혹한에 거리에 방치할 수없어 강제적으로 수용하다시피 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보호대책은 물론이려니와 일자리 마련등 자활의 길을 열어주는 대책이 더 시급하다.

 실업에 대비한 사회보장책이 미비한 우리로서는 노숙자들에 대한 해결방안이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노숙자문제는 적극적인 실업대책의 일환으로 해결해야 한다. 올해안에 실업자수는 기업구조조정으로 더 늘어 2백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돼 노숙자수도 더 늘어날 것으로 관계당국은 보고있다. 노숙자들의 능력에 맞는 일자리를 제공해 자립기반을 마련해주고 가정으로 복귀시킬 대상자를 가려내 귀가토록 하는등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