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금 반환 소송 승리' 숨은 주역…이원구 전 조직위 대변인 운영팀장

“인천 스스로 유치~마무리 큰 의미”
“인적·물적 자원 모을 인프라 갖춰야”
“스포츠 유산, 우리 노하우·자산으로”

5만8685명.

2014 인천아시안게임은 보이지 않는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헌신으로 치러졌다.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공식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직원 455명을 비롯해 자원봉사자 1만1236명, 지원요원 7589명 등 총 5만8685명의 사람이 대회 성공을 위해 땀을 흘렸다.

지역에서 20년 넘게 기자로 활동하다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 합류한 이원구(사진) 인천 연수구청 언론협력관도 이들 가운데 하나다.

조직위에서 대변인 운영팀장을 하다 공식결과보고서 제작 총괄 업무을 맡아 일을 마무리하고 조직위를 떠난 그는 2017년 10월 다시 조직위에 들어갔다.

인천아시안게임 미완의 과제인 대회 기념·유산사업을 기획·추진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조직위 청산인과 인천시 공무원하고 총 3명이 대회를 총 마무리하는 일을 했었다. 맡은 대회 유산사업 일을 하면서 법인세 부과 취소소송 업무도 함께 도왔다”고 지난 과거를 회상했다.

그는 “대회 유치서부터 마무리까지 모든 과정을 인천이 스스로 해냈던 대회가 인천아시안게임”이라며 “인천시민이라면 자긍심을 가져야 하는 대회”라고 강조했다.

이 협력관이 이처럼 인천아시안게임 대회 의미와 가치를 힘주어 말하는 건 그만큼 인천시민에게조차 인천아시안게임은 '잊혀진 이름'이 됐기 때문이다.

오히려 '인천시 재정위기를 불러온 주범'이라는 오명으로 당시 땀 흘려 일했던 많은 이들에게 마음의 상처로 남았을 정도다.

그는 “이번 항저우아시안게임을 비롯해 인천아시안게임 이후 치러진 대회 등을 보면서 당시 같이 일했던 많은 이들이 말 못 할 속앓이를 했었을 것”이라며 “이제라도 대회 위상을 되찾고 영광을 이어갈 유산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협력관은 “진정한 대회 기념 및 유산 사업의 첫 단추는 이 같은 일을 추진할 수 있는 구심점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요즘 얘기가 나오고 있는) 별도 재단이든 인천시체육회 산하 조직이든 대회 이후 뿔뿔이 흩어진 인적·물적 자원을 모을 수 있는 인프라가 먼저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인천아시안게임 4년 후 치러진 2018 평창동계올림픽 사례를 들어 “(올림픽 대회 이후 설립된) 2018 평창기념재단의 경우 자본금 1000만원으로 시작해 현재는 연 100억 규모 예산을 운영하는 재단으로 성장했다”며 “앞으로 인천도 지역 체육 진흥 목적뿐 아니라 '포스트 아시안게임'을 준비하거나 대규모 국제대회를 치러야 하는 상황이 온다고 하면 이 같은 재단(조직)의 필요성이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협력관은 내년 대회 10주년과 맞물려 지난해 인천시 금고로 귀속된 대회 운영 잉여금이 이 같은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중요한 마중물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며 “인천의 소중한 스포츠 문화유산을 뿔뿔이 흩어 버릴지 아니면 우리의 노하우, 자산으로 만들지 중요한 선택이 남았다”고 말했다.

/유희근 기자 allways@incheonilbo.com



관련기사
[잊혀진 이름 인천AG, 미완의 과제] (하) 위상 되찾을 마지막 기회, 영광 기억할 유산 남기자 2014 인천아시안게임은 인천이 자랑해야 할 스포츠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역에서 이렇다 할 기념사업이나 유산사업이 추진되지 않았다.지난해 인천시 금고로 귀속된 대회 잉여금에 관심이 모아지는 건 내년 대회 10주년과 맞물려 인천아시안게임 위상을 되찾을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이다.인천아시안게임에 직·간접적으로 몸을 담고 있었거나 불합리한 과세로 빼앗길 뻔한 잉여금을 돌려받기 위해 싸웠던 이들이 침묵하지 않고 목소리를 내는 이유다.먼저,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에서 의무반도핑부장을 맡았던 박판순 인천시의원은 인천아시 [잊혀진 이름 인천AG, 미완의 과제] (중) 잉여금 활용방안, 뻔한 정답 변한 논의 지난해 인천시 금고로 귀속된 2014 인천아시안게임 대회 잉여금(잔여재산)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답'은 이미 나와 있다.2008년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법인을 설립하며 만든 정관에 따르면, '대회 잔여재산은 유산 사업을 비롯해 우리나라 체육 발전을 위한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제9장 46조)고 명시돼 있다.대회 이듬해인 2015년 1월 시민단체·학계·체육계·언론사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 AG기념사업 자문위원회가 꾸려져 기념전시관 및 공원 추진사업 등에 대한 [잊혀진 이름 인천AG, 미완의 과제] (상) 위대한 유산, 소중한 자산으로 내년이면 2014 인천아시안게임이 개최된 지 10주년을 맞는다. 2014년 9월19일부터 10월 4일까지 총 16일간 '평화의 숨결, 아시아의 미래'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된 인천아시안게임은 북한을 비롯해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회원국 45개국이 모두 참가했으며 17개의 세계신기록과 34개의 아시아신기록이 쏟아져 기록 면에서도 풍성한 대회로 역사에 남았다. 4년마다 개최되는 45억 아시아인의 최고 스포츠 축제로 대한민국에선 1986년 서울, 2002년 부산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된 아시안게임이었다. 하지만 정작 개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