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재단·사업·다목적 체육관 등
잉여금 활용방안 놓고 다양한 주장
“일회성 아닌 지속적 관심을” 입모아

2014 인천아시안게임은 인천이 자랑해야 할 스포츠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역에서 이렇다 할 기념사업이나 유산사업이 추진되지 않았다.

지난해 인천시 금고로 귀속된 대회 잉여금에 관심이 모아지는 건 내년 대회 10주년과 맞물려 인천아시안게임 위상을 되찾을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이다.

인천아시안게임에 직·간접적으로 몸을 담고 있었거나 불합리한 과세로 빼앗길 뻔한 잉여금을 돌려받기 위해 싸웠던 이들이 침묵하지 않고 목소리를 내는 이유다.

먼저,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에서 의무반도핑부장을 맡았던 박판순 인천시의원은 인천아시안게임 기념재단을 설립하자는 제안을 했다.

그는 “인천아시안게임 4년 후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대회가 끝난 후 재단(2018 평창기념재단)을 설립해 지금도 기념사업과 유산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인천아시안게임도 기념·유산사업이 일회성에 끝나지 않고 지속하려면 재단을 설립해 지역 체육 진흥을 위한 다양한 사업과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캐나다 몬트리올에 가면 1976년에 열린 올림픽 기념관과 공원이 지금도 대표 관광지일 만큼 스포츠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다”며 “인천시도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만큼 자부심을 갖고 인천아시안게임이 남긴 유무형의 좋은 자산이 잊혀지지 않도록 좀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대회 잉여금은 국가(국세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서 어렵게 돌려받은 돈”이라며 “인천시가 인천시민과 지역시민사회단체가 함께 힘을 모아 대회 잉여금을 환원받았다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는 목적에 맞게 잉여금을 사용하는 것인데 대회를 기념할 수 있고 남긴 유산을 지속 가능하도록 보전할 수 있는 데 쓰여야 한다는 원칙은 불변하는 것”이라며 “(잉여금 활용방안을) 시가 혼자 결정할 것이 아니라 공론장으로 가지고 와서 범시민적 합의와 공감대를 이끌어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종헌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특임교수는 “만일 인천시가 대회 잉여금을 가지고 다목적 체육관을 지으려고 한다면 정말 의미 있는 시설로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천아시안게임 대회 당시 인천시체육회에 몸을 담고 있었던 이 교수는 “지금처럼 초라하게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에 기념관을 둘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대회 의미를 담고 기념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며 “기존 체육 시설을 하나 더 짓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잉여금을 가지고 재단을 설립하자는 제안과 관련해 “대회 이후 꾸준히 제기돼 왔던 것으로 동의한다"며 "다만, 단순 대회를 기념하는 성격 보단 재단 자체 사업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 인천시에 의존하는 인천시체육회 예산을 어느 정도 뒷받침 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재단이라면 더욱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유희근 기자 allways@incheonilbo.com



관련기사
[잊혀진 이름 인천AG, 미완의 과제] (중) 잉여금 활용방안, 뻔한 정답 변한 논의 지난해 인천시 금고로 귀속된 2014 인천아시안게임 대회 잉여금(잔여재산)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답'은 이미 나와 있다.2008년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법인을 설립하며 만든 정관에 따르면, '대회 잔여재산은 유산 사업을 비롯해 우리나라 체육 발전을 위한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제9장 46조)고 명시돼 있다.대회 이듬해인 2015년 1월 시민단체·학계·체육계·언론사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 AG기념사업 자문위원회가 꾸려져 기념전시관 및 공원 추진사업 등에 대한 [잊혀진 이름 인천AG, 미완의 과제] (상) 위대한 유산, 소중한 자산으로 내년이면 2014 인천아시안게임이 개최된 지 10주년을 맞는다. 2014년 9월19일부터 10월 4일까지 총 16일간 '평화의 숨결, 아시아의 미래'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된 인천아시안게임은 북한을 비롯해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회원국 45개국이 모두 참가했으며 17개의 세계신기록과 34개의 아시아신기록이 쏟아져 기록 면에서도 풍성한 대회로 역사에 남았다. 4년마다 개최되는 45억 아시아인의 최고 스포츠 축제로 대한민국에선 1986년 서울, 2002년 부산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된 아시안게임이었다. 하지만 정작 개최지 “인천AG 자긍심을…이제라도 유산 사업해야” 5만8685명.2014 인천아시안게임은 보이지 않는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헌신으로 치러졌다.'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공식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직원 455명을 비롯해 자원봉사자 1만1236명, 지원요원 7589명 등 총 5만8685명의 사람이 대회 성공을 위해 땀을 흘렸다.지역에서 20년 넘게 기자로 활동하다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 합류한 이원구(사진) 인천 연수구청 언론협력관도 이들 가운데 하나다.조직위에서 대변인 운영팀장을 하다 공식결과보고서 제작 총괄 업무을 맡아 일을 마무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