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출범 20주년(10월15일)을 맞았다. 지난 세월 동안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개발 현장을 보며 새삼 '상전벽해(桑田碧海)'란 말을 실감한다. 갯벌을 메우고 그 위로 쭉쭉 뻗은 고층건물이 들어서면서 '첨단 글로벌 도시'로서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IFEZ는 이제 '도시 개발은 이렇게 하는 것'임을 뽐내며 세계인의 이목을 끈다.

국내에서 경제자유구역(FEZ) 지정 필요성은 지난 1997년 IMF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제기됐다. 보유외환 부족의 타개책으로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일종의 경제특구 정책으로 시작한 FEZ 지정(2003년 8월11일)은 수도권 관문 도시라는 지리적 이점을 가진 인천의 발전을 이끄는 계기로 작용했다.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을 품은 인천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송도·청라·영종) 이후 지금까지 국내 외국인 직접투자의 70% 이상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적을 냈다.

인천경제청은 드넓은 바다 공간을 매립해 마련한 토지를 바탕으로 사업권을 부여해 왔다. 조성원가 이하로 토지를 제공하고, 각종 세금 감면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외국인 기업 투자유치에 주력했다. 송도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 클러스터'의 성과는 더욱 크다. 단일 도시 기준으로 세계 최대 바이오 의약품 생산 역량을 보유한 송도엔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SK바이오사이언스 등 국내 굴지의 바이오 기업을 비롯해 머크·싸토리우스 등 글로벌 기업이 들어온 상태다. 현재 송도 20만2969명, 영종 11만5123명, 청라 11만4103명 등 모두 43만2195명이 거주하고 입주기업은 3481개에 이른다.

반면 그동안 거둔 실적은 차치하더라도 헤쳐나가야 할 과제도 많다는 분석이다. 먼저 3개 경제자유구역 내 주민 삶의 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실제로 인천발전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경쟁력 관점에서의 인천경제자유구역 정주여건 분석' 결과 보고서를 보면, 의료와 생활 여건 등에서 수도권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특히 의료 분야의 경우 우여곡절을 거치며 송도국제도시에 연세대학교 송도 세브란스 병원이 착공했지만, 아직은 3개 지역에 대형 의료기관이 없는 실정이다. 주민들은 다른 지역을 전전하는 등 큰 불편을 겪는다.

IFEZ는 앞으로 인천 발전을 선도할 뿐 아니라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한다. '시민이 행복한 인천'이란 목표를 실현하려면, 눈앞에 펼쳐진 장애와 난관을 슬기와 역량으로 극복해야 할 터이다. 그래야 '인천이 세계 초일류 도시'의 꿈도 이룰 수 있지 않겠는가.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마계 인천'에 대한 소회 '마계(魔界) 인천'. 무슨 영화 제목 같다. 그런데 그 안을 들여다 보면 인천을 비하하는 듯한 말이어서 어처구니 없다. 충격적인 범죄가 인천에서 자주 발생해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이 표현이 처음 등장한 건 지난 2017년 3월 초등학생 살해 사건 때였다. 10대 소녀가 저지른 잔혹한 범죄에 대한 한 온라인 기사 댓글에서 비롯됐다. “역시 마계(악마의 소굴) 도시 인천”이란 짧은 글이었다. 금방 사라지리라고 예상했던 '마계'란 단어는 온라인을 통해 꾸준히 퍼져 나갔다. 마계란 말이 붙어 있지 않은 인천 [썰물밀물] 빛바랜 올림포스호텔 활용안 아쉽다 우리나라 최초의 호텔은 1888년 개항지 인천에 세워진 대불호텔이다. 그만큼 국내 '호텔 역사'에서도 인천은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다. 한국 근대사에서 대불호텔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고 할 수밖에 없다. 지금이야 지역마다 호텔들이 즐비하지만, 개화기 조선엔 이렇다 할 숙박시설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조선을 찾은 이방인들은 불편한 잠자리를 견뎌야 했다고 전해진다.경인선 철도가 놓이기 전 인천에서 서울로 가려면 아주 오래 걸렸다. 1883년 개항한 제물포항을 통해 이 땅을 밟은 외국인들은 인천에서 묵어야만 했는데, 대불호텔 [썰물밀물] 장수동 은행나무의 변신 너도 나도 울긋불긋해지는 단풍을 즐기는 가을이 날로 깊어가고 있다. 그렇긴 해도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아래선 찜찜한 기분을 떨칠 수 없다. 떨어진 은행이 퀴퀴한 냄새를 풍기는 탓이다. 우리에겐 가로수로 흔해, 가을이 무르익으면 그 열매를 밟고 지나기 일쑤다. 은행나무는 병충해에 강하고 도심의 탁한 공기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지닌다. 국내에선 경기도 양평군의 용문사 은행나무 등 20여 그루가 천연기념물로 보호를 받고 있다.아무래도 도심에서 은행잎이 쌓인 길을 걸으며 가을 정취를 느끼기엔 열매에서 나오는 악취가 방해를 한다. 열매를 [썰물밀물] 맨발 걷기 열풍에 대해 요즘 공원이나 산책로 등지에 가면, 맨발로 걷는 이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혼자서 또는 삼삼오오 짝을 지어 맨발 걷기 운동에 여념이 없다. 때론 한결같이 묵상에 빠지거나, 서로 대화를 나누며 즐거워하는 모습 등이 눈에 띤다. 기자도 슬그머니 신발과 양말을 벗어 던지고 한통속으로 맨발 걷기를 해본다. 기분이 가벼워짐을 느낀다. 한두번에 그치지 말고 꾸준히 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게 맨발 걷기 예찬론자들의 설명이다.최근 들어 맨발 걷기가 건강에 좋다는 소문이 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끈다. 맨발걷기시민운동본부까지 있으니, 그 열풍을 [썰물밀물] 한용단과 '구도(球都) 인천' “야구 이야기가 나오면 어렸을 때 웃터골에서 애를 태워가면서 손에 땀을 쥐고 지켜보던 한용단(漢勇團)의 믿음직한 모습이 아련하게 떠오른다. 한용단이 유명했던 것은 야구를 잘한다고만 해서가 아니었다. 그간 쌓이고 쌓였던 일인(日人)에 대한 원한과 울분을 한때나마 야구경기를 통해서 발산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용단이 나온다는 소문이 돌면, 야구를 잘 모르는 이들까지 열병에 들뜬 것처럼 웃터골로 모였다.”고(故) 신태범 박사가 회고하는 한용단의 야구경기 장면이다. 웃터골은 지금 제물포고교가 자리잡고 있는 곳으로, 1920년 인천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