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태국에서는 공심채라는 식물 줄기를 플라스틱 빨대 대용으로 쓴다는 소리를 들었다. 말 그대로 가운데[心]가 빈[空] 채소[菜]인 덕이다. 수원화성 공심돈을 연상하면 이해가 빠를 듯하다. 국내에서는 태국식 공심채 볶음으로 제법 소문이 났다. 공심채는 태국뿐만 아니라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우리네 김치처럼 먹는 채소라고 한다. 빈 줄기 속으로 양념이 잘 배기에 맛이 없을 수가 없다는 게 공심채 애호가들의 칭찬이다. 동남아 출신 이주민들에게 공심채 요리는 꿈에도 못 잊을 고향 음식일 게다.

아시아로컬푸드복지협동조합과 김포시아열대작목회가 '아작'이라는 농산물 브랜드를 지난 7월 출시했다. '아작'은 아열대 작물(과일과 채소)의 줄임말이다. 공심채가 대표 채소이고, 서남아시아 사람들이 즐겨 먹는 머스크가지, 인디언 시금치라 불리는 황궁채, '줄콩'이라는 별칭을 가진 롱빈 등이 '아작' 작목 목록이다. '아작'은 결혼이주여성, 난민, 이주노동자 등 이주정착자와 김포 농민이 함께 재배했다. 지난 2019년부터 몇 년간 시행착오 끝에 시장 출하까지 성공시켰다.

한국에 체류하는 이주민은 2008년 100만명이 넘어섰고, 2020년에는 213만명으로 집계되었다. 사람이 왔으니 이들의 고향 음식이 당연히 따라와야 한다. 하여, 10여년 전부터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아열대 작목 재배 시도가 꾸준히 이어졌다. 게다가 한국도 아열대 식물이 잘 자랄 만큼 기후변화가 빠르기도 하다.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몰려 사는 수도권 김포에 '아작' 작목반을 발 빠르게 구성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콜럼버스가 15세기 말 신대륙을 발견한 이래 옥수수 토마토 감자 고구마 바닐라 카카오 담배는 신대륙에서 구대륙으로, 밀 쌀 양파 사탕수수 커피는 구대륙에서 신대륙으로 건너갔다. 미국 역사학자 알프레드 크로스비는 1960년대 후반 신·구대륙 사이에 벌어진 사람과 문명의 상호이동을 '콜럼버스의 교환'이라 이름 붙였다. '콜럼버스의 교환'이 없었더라면 세계사는 지금과 크게 달라졌을 게도, 우리는 상당한 먹을거리를 맛도 보지 못했을 터이다.

그에 비견할 정도는 아니지만 김포 '아작'은 한국문화사가 새로운 시대로 접어든다는 확실한 징표 가운데 하나다. 아시아로컬푸드복지협동조합 조종술 이사장은 '아작' 출하에 대해 “농업 분야에 작은 숨통 하나 통하게 한 것에 불과하다”며 겸손해했다. 그러나 그 의미가 작아 보이지 않는다. '아작'의 성공을 기원한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화성시 융·건릉 외금양계비 조선시대 대표적인 산림보호정책은 금표(禁標)를 세우는 일이었다. 나무, 특히 소나무를 함부로 베어내지 못하도록 산 곳곳에 금표를 세웠다. 금표 안쪽에서 벌목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방목하는 일은 엄격히 금지되었고, 쓰레기를 함부로 내다 버려도 안 되었다. 정조 임금 때에 강화에 세워진 금표에는 '가축을 놓아 기르는 자 곤장 100대, 재를 버리는 자 곤장 80대'라는 중벌이 명기되어 있다. 지은 죄에 비해 벌이 매우 무거워 보인다.왕릉 주변은 훨씬 더 엄격하게 보호되었다. 일반 백성이 감히 왕릉 주변을 훼손할 일이야 [썰물밀물] '빙하 장례식'과 '흰죽' 시인이 골목 어귀에 붙은 오래된 포스터 한 장을 오래 들여다보았다. 광활한 설원, 발목까지 덮는 눈길을 한 사내가 포스터 속에서 걷고 있었다. 눈 속에 파묻힌 사내의 발이 시리고 아파 보였다. 아니, 시인의 발이 아파왔다. 시인이 집에 돌아 와 신발을 벗는데 피가 비쳤다. 발을 씻으며 아무리 살펴봐도 상처가 없었다. “오직 한 생각으로 먼 설원을 건너가다 보면// 가도 가도 없는 사랑을 앓듯,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 (이덕규 시인의 시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의 마지막 두 연.)이 시가 [썰물밀물] 부천아트벙커B39 벙커(bunker)라는 영어 단어에는 '석탄저장고'라는 뜻이 있다. 석탄이 가정용 연료로 자리 잡으면서 석탄 쟁여두는 장소를 벙커라 불렀다고 한다. 우리네로 치면 '연탄광'인 셈인데, 영국 벙커는 작은 방공호처럼 생겼던 모양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벙커는 방공호, 은폐나 방어를 위한 콘크리트 요새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그렇다면, 골프장 모래구덩이도 석탄저장고 안을 연상시켜서 벙커인 걸까?)쓰레기소각장에서 벙커라고 하면 쓰레기를 모아 두는 시설을 가리킨다. 하루 수백 톤을 처리하려면 노르망디 독일군 [썰물밀물] 역사와 미래가 담긴 도시브랜드를… 10년 전인 2013년 포천시에서 논쟁이 붙었다. 포천이라는 지명이 역사에 등장한 게 언제냐가 초점이었다. 통설은 조선 태종 13년 즉 1413년 포천군이 탄생했다는 기록을 내세웠다. 따라서 2013년이 '포천 600'주년이라는 것이다. 반면 일부 향토사학자는 고려 성종 14년 즉 995년에 십도제를 실시하면서 포천군이 등장했다는 주장으로 맞섰다. 무려 1018년 전에 포천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어느 쪽이 맞느냐는 관심사가 아니다. 다만, 포천이라는 고장은 최소 600년, 최고 한 밀레니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썰물밀물] 수원 국제아동도서&콘텐츠 페스타 '북키즈존' 존은 지각대장이다. 아침 학교 가는 길에 온갖 모험을 겪는다. 하수구에서 기어 나온 악어를 만나고, 산더미 같은 파도에 휩쓸리기도 한다. 하지만 선생님은 존을 거짓말쟁이라며 벌을 세운다. 존 커닝햄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를 처음 읽던 날 무릎을 쳤던 기억이 난다. 등하교길에 도마뱀을 쫓고, 미꾸라지를 잡던 어린 시절이 순식간에 수십년 세월을 건너왔기 때문이다. 존 커닝햄의 또 다른 작품 <우리 할아버지>에서는 할아버지와 손녀의 밋밋한 일상이 감동으로 승화되는 솜씨에 탄복하기도 했다.추석 연휴 직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국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