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파독((派獨) 광부와 간호사가 겪은 고초를 어찌 글로 다 표현할 수 있으랴. 1960∼70년대 우리가 먹고살기 어려운 시절, 독일로 건너가 외화 벌이에 힘을 쏟은 이들의 공로는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이들이 고국에 송금한 돈은 약 1억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당시 한국 총 수출액의 2%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우리나라 산업화와 경제 발전의 밑거름으로 작용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1960년대 제2차 세계대전 패망을 극복하고 경제 부흥에 성공한 독일은 경제 성장과 함께 탄광·의료·요양 등의 분야에 외국인 노동력 유입을 필요로 했다. 같은 시기에 한국은 경제개발 정책을 추진 중이었고, 외화를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 서로 원하는 바를 맞춰 1961년 두 나라는 경제기술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그 결과 기술협력과 차관 공여, 광부·간호 인력 파견 등에 합의했다.

한독협정 이후 1963년 12월22일 독일에 처음 도착한 광부는 123명으로, 1977년까지 7936명에 달했다. 곧 이어 간호 여성들이 독일로 가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기록을 보면, 1976년 간호사 독일 파견이 공식 중단될 때까지 한국 여성 1만여명이 서독으로 이주했다. 이 중 수천명이 간호사로 일했다고 전해진다.

광부들은 막장에서 탄을 캐느라 생사를 넘나들었고, 간호사들은 거구의 독일인을 상대로 주사·투약·간병 업무를 하느라 허리를 펴지 못했다. 독일이란 낯선 나라에 한인 사회의 기틀을 닦은 이들이 바로 파독 광부와 간호사다. 독일로 떠날 무렵 20~30대로 젊었던 그들은 어느덧 고희를 넘긴 반백의 모습으로 독일 교민 1세대를 이룬다.

재외동포청을 출범시킨 인천에서 파독 광부·간호사 60주년 행사가 열린다. 하늘도시축제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8월11∼14일 송산공원에서 '2023 영종국제맥주축제'를 진행한다. 파독 광부·간호사 시절, 일을 마친 뒤 마셨던 맥주를 바탕으로 기획하게 됐다고 한다. 거친 삶을 일궈낸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의 삶을 조명하는 뜻깊은 시간이다. 여기선 파독 광부와 간호사 30여명으로 구성된 합창단이 공연을 벌이고, 독일 파견 때 모습을 담은 사진 등의 자료와 소장품도 전시한다. 60년 전 현지 독일 맥주도 선보인다.

인천은 이들에게 남다른 의미를 품고 있기도 하다. 재외동포들의 삶을 톺아볼 재외동포청을 안고 있는 데다 영종도에 유럽한인문화타운을 조성할 예정이어서다. 인천시는 재외동포들에게 '제2의 고향'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온힘을 쏟겠다고 밝힌 상태다. 시민들이 행사를 계기로 과거 치열한 삶을 살았던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대이작도의 변신을 향해 “해당화 피고지는 섬마을에/철새 따라 찾아온 총각 선생님/열아홉 살 섬색시가 순정을 바쳐/사랑한 그 이름은 총각 선생님/서울엘랑 가지를 마오 가지 마오/구름도 쫓겨가는 섬마을에/무엇하러 왔는가 총각 선생님/그리움이 별처럼 쌓이는 바닷가에/시름을 달래보는 총각 선생님…” 1967년 발표한 국민가수 이미자의 '섬마을 선생님'이란 곡이다.가사가 애틋하다 못해 슬프기까지 하다. 우리가 배 고프던 시절, 낭만만으론 살 수 없었던 현실을 그려내고 있다. 당시 노래가 인기를 끌자, 곧바로 '섬마을 선생'이란 제목의 [썰물밀물] 새삼 주목되는 한국이민사박물관 재외동포청 인천 출범과 함께 새삼 주목을 받는 곳이 있다. 바로 한국이민사박물관이다. 하와이 이민 100주년을 맞아 선조들의 개척자적 삶을 기리고 그 발자취를 후손들에게 전하자는 취지로 탄탄한 준비를 거쳐 2008년 6월 완공했다. 인천시민과 해외동포들이 뜻을 모아 세운 국내 최초의 이민사박물관이다. 우리나라 첫 공식 이민의 출발지였던 인천에 건립함으로써 100년 넘은 한인 이민역사를 체계화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 한국의 재외동포는 193여개국 730만여명에 이른다.한국이민사박물관은(중구 월미로 329)은 월미공원 자락에 고즈 [썰물밀물] 인천과 톈진 인천과 중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중국 산둥성에서 닭이 울면 인천에서 들린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을 만큼, 지리적으로도 아주 가깝다. 거슬러 올라가면, 삼국시대부터 인천은 중국과 왕래하던 거점이었다. 연수구 옥련동엔 백제가 중국을 오갈 당시 이용했던 나루터가 자취를 남기고 있다. 능허대(凌虛臺)다. 백제가 378년부터 100여년 동안 사용했던 선착장으로 알려진다. 사신과 무역상 등이 중국으로 가는 배를 탔던 곳이다. 1990년 인천시 기념물로 지정됐다. 현재 능허대 주변은 개발로 인해 공원으로 단장된 상태다 [썰물밀물] '황해문화' 30년 잡지 발행은 결코 녹록하지 않다. 월간이든 계간이든 가리지 않고 다 그렇다. 우선 독자 확보와 재정적인 뒷받침 등 헤쳐나가야 할 일이 무척 많다. 책 내용이 어줍잖으면 독자와 구독료를 잃고, 나중엔 폐간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어려운 가운데서도 30년 동안 꾸준히 발행에 힘을 쏟았다면, 높이 살 만하겠다. 그것도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지속적으로 나온 잡지는 아주 드물다. 아니, 몹시 희귀할 정도다. 그만큼 우리 '잡지 생태계'에서 30여년을 버틴 세월이야말로 '파란만장' 그 자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 [썰물밀물] 동구 화수·화평동에 대한 기억 동구 화수·화평동(花水·花平洞)은 근대 개항기부터 동네를 형성한 곳이다. 꽃(花)과 물(水)을 뜻하는 화수동은 우리말 '바닷물 넘나드는 무네미 마을'로 통하기도 했다. 인천 개항 1년 전인 1882년 5월22일(고종 19년)엔 화수동에서 한국과 미국이 처음으로 '한미수호통상조약'을 조인한 역사적 장소로 기억된다. 이곳엔 일제 강점기 들어 경·중공업 공장이 많았다. 1936년엔 인천부 화평면, 1946년엔 경기도 인천시 화평동이었다. 그러다가 1998년 화수1·화평동(행정동)으로 통합돼 오늘에 이른다.화수 [썰물밀물] '연안부두' 노래의 재해석 “어쩌다 한번 오는 저 배는/무슨 사연 싣고 오길래/오는 사람 가는 사람/마음마다 설레게 하나/부두에 꿈을 두고 떠나는 배야/갈매기 우는 마음 너는 알겠지/말해다오 말해다오 연안부두 떠나는 배야/절바람이 불면 파도가 울고/배 떠나면 나도 운단다/안개 속에 가물가물/정든 사람 손을 흔드네/저무는 연안부두 외로운 불빛/홀로 선 이 마음을 달래주는데∼(후렴)”'연안부두'란 노래다. 인천인들의 애창곡이다. 조운파 작사·안치행 작곡에 김트리오가 불러 1979년 탄생했다. 인천의 연안부두를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사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