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6천억원을 투입해 건설된 10개 월드컵경기장의 지방자치단체의 사후 활용방안에 대해 정부가 실현가능성 검토와 함께 필요한 지원방안 모색을 진행중이다.
 경기장 건설비용을 회수할 수는 없으나 적어도 경기장시설을 유지·관리하는데 필요한 돈을 수익사업을 통해 만들어내려는 지자체의 활용방안이 타당성이 결여돼 지자체의 추가 재정부담이 될 우려가 높은 까닭이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23일 “서울 등 10개 월드컵 개최도시들로부터 경기장 사후활용 계획을 건네받아 경기장시설의 향후 예정 지출·수입내역과 계획들의 실현가능성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지자체와 논의해 활용방안을 보완하도록 하는 한편 필요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대부분의 경기장이 이벤트 행사를 위한 가변식 무대, 시민편익시설 설치 등 사후활용을 고려해 건축됐으나 재정적 측면에서 사후 독립적 유지·관리는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던 터라 벌써부터 추가적인 재정부담이 우려되고 있다.
 이 관계자는 “개최도시마다 사정이 다르지만 대부분 건설비 회수는 말할 것도 없고 유지·관리자금을 마련할 뾰족한 수익사업을 찾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