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무형문화재 지장(紙匠) 장성우(52)씨가 가평에 마련한 한지를 만드는 작업장 모습, 한지에 주재료로 쓰이는 닥나무 껍질 더미가 작업장 한켠에 쌓여있다.
경기도무형문화재 지장(紙匠) 장성우(52)씨가 가평에 마련한 한지를 만드는 작업장 모습, 한지에 주재료로 쓰이는 닥나무 껍질 더미가 작업장 한켠에 쌓여있다.

 

전통문화 계승을 위해서는 무형문화재의 전승자가 있어야 하지만 생활고 등의 경제적 문제가 전통문화 명맥 잇기에 발목을 잡고 있다.
전통문화 전수자와 이수자 모두 10년 이상 기능을 연마해야 하지만 그 시간 동안 생계를 이어가기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 무형문화재는 한 종목에서 최소 3년 이상 전수생으로 교육을 받아야 이수자 자격이 생긴다. 이수자가 된 이후에는 최소 5년 이상 전승 활동을 한 뒤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의 추천이 있어야만 경기도가 실시하는 심사를 통해서 전수교육조교나 기능보유자가 될 수 있다. 전수생이 전수교육조교나 기능보유자가 되기까지 기본적으로 10년 가까운 시간이 걸리는 셈이다. 이 때문에 전수생이나 이수자들에게 생업은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

8월 현재 경기도 무형문화재는 총 68종목이 지정돼 있다. 이중 개인종목(47개)에는 이수자 206명과 전수생 246명이, 단체종목(21개)에는 이수자 210명, 전수생 419명이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기능 종목별로 살펴보면, 기능(40종목)에서는 이수자 및 전수생이 없거나, 1명에서 최대 9명으로 구성됐고, 예능(28종목)에서는 이수자가 1명에서 118명에 이르기도 했다. 무형문화재 종목별로 이수자와 전수생의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경기도는 '경기도문화재보호조례'에 근거해 도 무형문화재의 전승·보전을 위한 전수교육비·장학금 등 필요 경비를 예산 범위에서 지원하고 있다. 활동비 명목으로 기능보유자들에게 지원되는 전승지원금은 전수생을 위한 교육비나 이수비용으로 사용된다.
2008년~2015년까지 보유자에게 지급된 전승지원금은 월 120만원이다. 이후 2016년과 2017년 각각 5만원씩 인상돼 올해 130만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2019년 기준 최저임금(174만5150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보유자 외에 전수교육조교(월 50만원)나 보유단체(월 80만원)에 지급되는 전승지원금은 2008년부터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인상되지 않았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기능장으로 지정된 A씨는 "매달 최저임금의 70%정도 밖에 안 되는 전승지원금을 받으면서 모자란 재료비를 충당할 수 없어 버려진 목재를 가져다 전수생들의 연습재료로 사용한다"며 "우리나라 전통의 명맥이 끊길세라 얼마 되지 않은 전승지원금을 모두 전수교육비로 쓰고 있지만 전수생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전승 활동을 언제 그만 둘지 몰라 걱정이 태산"이라고 하소연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보유자인 B씨는 "하나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재료값이 비싼데다 유통비가 만만치 않아 직접 재료를 생산하는 일까지 하고 있다"며 "여기에 전통 작업 방식을 고수해야 하다 보니 수작업을 위해 필요한 인건비도 별도로 투자해야 해 전통을 지켜내는 일이 매우 버거운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무형문화재 전수생들이 줄어 들고 있는 추세에 있다"면서 "올 하반기부터는 전수생에 대한 장학금 제도를 시행하고 내년도 무형문화재 전승지원금을 인상하는 등 경기도가 타 지자체 대비 높은 수준의 무형문화재 지원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상아·박혜림기자 asa88@incheonilbo.com



관련기사
최연소 52·최고령 88세 … 무형문화재가 위태롭다 전승자 못 찾은 무형문화재백동연죽장·여성 어름사니별세 뒤 '지정해제' 이어져기능보유자-전수교육조교고령화로 '세대교체' 시급#우리나라 고유의 담뱃대는 구리에 금·은·아연 등을 합금 처리한 백동으로 만든 백동연죽(白銅煙竹)으로, 이를 만드는 기술을 가진 사람을 백동연죽장(白銅煙竹匠)이라고 한다.백동을 두드려 펴고 땜질해 만드는 백동연죽은 금속 세공기술에 속할 정도로 세공 솜씨가 좋다. 그러나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됐던 백동연죽장은 10여 년 전 없어졌다. 1989년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7호 기능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