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승인건수 2배로 … 서울 인접·금융 혜택 매력
인천 구조고도화 기대 … 영세업체만 모일까 우려도

▲ 남동국가산업단지 내에 조성 중인 지식산업센터 모습. 수인선 남동인더스파크역 주변에 위치한 이곳은 현재 건축이 진행 중인데도 다른 공장들보다 우뚝 솟은 모습이다.

인천지하철 1호선 '갈산역' 앞 분식집 찜기는 아침 8시부터 펄펄 끓고 있었다.

역을 빠져나온 사람 몇몇이 찜기 수증기 헤집고 분식집 앞에 서서 김밥과 만두를 사고는 다시 출근길을 재촉했다. 길 건너 토스트 가게에도 대기 줄이 섰다. '24시' 팻말을 붙인 국밥집들도 소소하게 아침 손님을 치르고 있었다.

A 국밥집 종업원은 "아파트형공장(지식산업센터 옛말)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혼자 살거나 하면 회사 가기 전에 일찍 와서 아침들 잡순다. 3교대 회사도 있고, 술집도 있어서 새벽 장사 수입도 나온다"고 귀띔했다.

부평국가산업단지 변화 한 축에 갈산역 사거리가 있었다.

지난 2008년 근처 콜트악기 부평공장이 문을 닫고, 2011년엔 삼익악기가 충북 음성으로 공장을 옮기면서 갈산역 부근 지역 경제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그때만 해도 인천 기업 외부 유출이 잦았다. 2009년 찾아온 금융위기에다 한국지엠도 잊을만하면 구조조정 등을 꺼내며 불안감을 보탰다.

대신, 삼익악기 부지 중심으로 2006년, 2008년 연이어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섰다. 이 두 곳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한 기업은 지난달 기준 모두 546곳으로 소속 종업원은 4234명이다.

인천지역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경인고속도로 부평IC 인접 지역이라는 전통적인 요건에 더해 인천 1호선, 멀리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까지 갖춘 갈산역 사거리에 부지가 마련돼 대형 지식산업센터들 유입을 이끌 수 있었다"며 "도시철도, 고속도로 이점이 아니었다면 기존 공장들이 나간 자리에 새로운 활력이 들어왔을 거라고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5년 새 지식산업센터 승인 두 배. 핵심은 '사통팔달'

지식산업센터는 도시형 제조업, 지식기반산업, 정보통신 관련 기업과 지원시설이 입주할 수 있는 3층 이상 집합건축물을 말한다. 입주 업종 제한으로 유사 업종이 모여 시너지를 내는 집적효과가 가능하다는 평가다. 또 상업시설용지에 지을 수 있어 교통, 편의시설 등 인프라가 뛰어난 편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자료를 분석해 보니, 2014년까지만 해도 30개 수준이던 인천지역 지식산업센터 승인 건수는 2015년부터 지난달까지 37건을 합쳐 현재까지 총 67건 수준이다. 5년 새 인천에서 지식산업센터 몸집이 2배 이상 커진 셈이다.

2015년 10건, 2016년 2건, 2017년 6건으로 조금씩 오르다가 지난해 11건을 기록했다.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11건이던 4년간 기록을 2018년 한 해 동안 달성한 것이다. 올해도 7개월 만에 8건으로 순항 중이다.
최근 2~3년 안에 승인이 난 지식산업센터들 공통점이라고 하면 대부분 부지 위치가 도시철도역에서 직선거리로 2㎞ 이내라는 점이다.

지난해에는 전체 승인 11건 중 송도국제도시 1건을 제외하고는 전부 수인선 '호구포역'과 인천 2호선 '가좌역' 주변에 자리를 틀었다. 호구포역은 제3경인고속도로, 가좌역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이슈에 더해 각자 도시철도까지 갖추면서 지식산업센터 신규 입주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경기에서 부는 지식산업센터 바람, 인천으로 옮기나 "제조업 영세화 경계해야"

인천상공회의소는 이런 지식산업센터 급증세를 눈여겨보고 원인부터 공급·수요 동향까지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특히 정부, 인천시가 구조고도화를 주도하는 남동국가산업단지 중심이 아니라 지방산단인 서구 등지에 지식산업센터가 확장되는 현상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인천상의 윤희택 부장은 "해마다 서울과 경기도에 지식산업센터 승인이 해마다 많게는 100건 남짓 나던 상황에서 서울·경기와 가까운 인천 일부 지역에서도 신규 승인이 늘고 있다"며 "지식산업센터가 서울에선 사무실, 경기도에선 연구실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추세에 제조업 중심 도시인 인천 지식산업센터는 어떤 성향으로 가고 있는지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핵심은 지식산업센터 건립으로 여겨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민간 지식산업센터가 난립하면 자칫 영세 제조업체를 인천으로 모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에서 승인을 받고 영업을 시작한 지식산업센터는 50곳 정도로 2520개 업체가 속해 있다. 소속 노동자는 1만4469명, 단순 계산으로 업체당 6명이 채 안 된다.

익명을 요청한 한 지식산업센터 관계자는 "지식산업센터에는 취득세와 재산세 등 다양한 금융 혜택이 제공된다. 실수요자가 매력을 느끼니 당연히 부동산 투자자들도 눈길을 줄 수밖에 없다. 이미 서울과 경기 등에선 실제 성공 사례도 나오고 있다"며 "서울과 가까운 인천에도 민간 자본이 유입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전개"라고 전했다.

▲주택시장 규제, 지식산업센터 확대 부추기나

요즘 정부가 민간주택 분양가 상한제 개선 방안을 발표한 뒤 부동산 시장은 '비주거 상품'에 눈을 돌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식산업센터가 반사이익을 볼 거라는 전망이다. 지식산업센터는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데다 대출 규제, 전매제한 등 부동산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 점이 호재로 해석되고 있다.

정부 주도 하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단지 조성과 일자리 창출 및 중소기업 육성책, 세제 감면 혜택 등 산업 혁신을 위한 지원에 편승할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글·사진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