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를 선정하기 위한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사실상 인천과 부산의 2파전 구도로 굳어진 상황인데, 지역에선 '총선 변수'만 없으면 인천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외교부는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위원회 제1차 회의를 20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준비위원회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21개 관계부처 차관·차관보급 인사로 꾸려졌다.

강 장관은 인사말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우리 외교의 최우선 과제인 신남방 정책을 상징하는 외교 행사이자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 관계를 한 단계 격상시키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이번 정상회의가 현 정부 들어 최대 규모의 국내 개최 국제회의로서 최소 1만명 이상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외교부는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회의를 열어 정상회의 유치 의사를 밝혔던 인천·서울·부산·제주 가운데 한 곳을 개최지로 선정할 방침이다.

▲국제회의 인프라와 숙박시설 등 유치 능력 ▲지자체의 유치 의지 ▲상징성 등을 평가해 최적의 장소를 뽑겠다는 구상이다.

외교부는 이미 지난해 연말 이들 4개 도시에 대한 현장 실사를 마친 상태다. 인천시는 이달 초 국제회의추진단을 발족하는 등 정상회의 유치에 전력을 쏟고 있다.

현재 인천과 부산을 중심으로 이번 유치전이 두 도시의 양자 대결로 좁혀졌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인천지역에선 과거 제주도와 부산이 각각 2009년, 2014년 개최지로 선정된 만큼 지역 간 형평성 차원에서 이번에는 국제회의 인프라가 탄탄한 인천이 개최지로 선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억여명의 아세안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도록, 미래형 스마트도시와 역사문화공간이 조화를 이루는 인천에서 행사를 치러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반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정치적 셈법이 작용해 지방을 선정할 것이란 얘기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은 "인천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로 선정해 아세안에 대한민국의 미래와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며 "정치적 논리로 인천을 탈락시키고 지방을 선정하면 홀대론이 불거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