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를 오염시키는 해양쓰레기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천혜의 자원이라고 손꼽을 정도로 수려한 자연생태환경을 간직한 인천의 섬이 해양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10월까지 인천시가 수거한 올해 도서지역 해양쓰레기는 3700t으로 매년 처리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도서 연안에 쓰레기가 쌓이고 있으나 환경부의 예산지원은 해마다 줄고 있다. 3년 전 27억원에서 올해 18억4500만원으로 감소했다. 과거보다 해양쓰레기가 크게 늘어났으나 처리 예산이 줄고 처리량도 대폭감소했다는 것은 정부와 인천시의 해양환경 정책의 후퇴를 의미한다. 인천의 섬을 관광 자원화 하는 시 정책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해양쓰레기 정책이 후순위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육상에서 유입되는 고체 제조가공물들이다. 이 외에 어업활동, 해수욕장, 항해선박 등에서 발생한다. 이미 해양생물의 먹이로 오인되는 미세플라스틱은 좀처럼 분해되지 않을뿐더러 인간의 건강에까지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해양쓰레기는 결국 사람의 활동에 따라 야기된 문제이기 때문에 환경정책에 기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해양쓰레기 정책에 배정된 예산이 대부분 쓰레기 수거에 집중 사용되고 있어서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해양쓰레기의 60~80%는 자연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차지한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플랑크톤에서부터 갑각류, 덩치가 큰 생물에까지 섭취되고 있고, 바닷새들이 죽어가고 있다.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위치한 인간도 그 피해를 알게 모르게 입게 된다. 실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생산된 천일염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될 만큼 해양 플라스틱 오염은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6일 오후 인천 옹진군청에서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주최한 '인천 앞바다 해양도서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회'에서 해양쓰레기의 재활용 사업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스티로폼 부이의 대체 등 해양쓰레기를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되돌리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기대한다. 해양 환경오염 위기는 더 늦기 전에 즉시 처방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