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민방위 경보장비가 8개 중 1개꼴로 기능이 유사한 재난 예·경보장비와 같은 건물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예·경보에 민방위 장비를 활용한 군·구는 한 군데도 없었다.

1일 감사원이 공개한 '재난정보 공유·전파 실태' 자료를 보면 인천 민방위 경보장비 163개 가운데 20개가 같은 건물에 재난 예·경보장비와 중복으로 설치돼 있다.

군·구별로 보면 강화군이 10개로 가장 많았다. 옹진군에도 연평면사무소, 백령9호 대피소 등 6곳에 민방위와 재난 경보장비가 나란히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 중에선 작전1동 주민센터 등 4개가 중복된 계양구가 유일했다. 감사원은 최근 3년간(2015~2017년) 호우로 인한 이재민이 가장 많았던 인천시(7736명)를 대상으로 경보장비 설치 실태를 점검했다.

감사원은 "유사한 재난 예·경보장비와 민방위 경보장비가 중복 설치되고 있는데도 이전·재배치나 중복 방지 대책이 없다"고 했다.

재난 상황에서의 민방위 경보장비 활용 역시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감사원이 지난해 1월부터 올 6월30일까지 민방위 경보장비 이용 실적을 점검한 결과, 10개 군·구 모두 재난 예·경보에 민방위 장비를 한 번도 쓰지 않았다.

감사원은 "기지국 통화량 폭주로 인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지연 또는 실패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도심지역 재난 상황 전파 사각지대 해소에 민방위 경보장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