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앞바다 수산자원 관리
인천은 누가 뭐래도 바다도시이자 수산도시다.

과거 연평도 파시(波市: 바다 위 생선시장)의 명성 속에 지금도 꽃게, 젓새우, 참홍어의 산지로 이름나 있다. 하지만 조기 어획량 감소로 연평도 파시가 역사 속 추억이 됐듯이 꽃게, 젓새우 등도 언제 인천 앞바다에서 종적을 감출지 모르는 일이다. 그만큼 수산자원의 관리가 중요하고 절실하다는 의미다.

인천에는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소연평도 지역을 아우르는 서해 5도 어장(1614㎢)과 서해특정해역(1만879㎢), 일반어장(3906㎢), 강화도 주변 어장(83㎢) 등 총 1만6482㎢의 어장이 형성돼 있다.

이 가운데 서해 5도서는 '선박안전조업규칙(해양수산부령)'에서 정하고 있는 어로한계선 이북에 위치하여 어로행위를 할 수 없는 지역이다.

다만 어로한계선 인근 도서의 어선에 한해 제한적으로 조업을 허용하고 있는데 협소한 어장에서 제한된 자원에 의존한 채 반복 조업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또한 다른 어장도 타 지역 어선의 조업과 과잉 어획으로 인해 수산자원이 나날이 감소하는 등 여러 문제들이 널려 있고,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첫 번째로 남북의 대치상황을 이용한 중국어선의 출현과 불법 조업으로 자원 감소는 물론, 어구의 훼손·손실 등의 피해를 입어 어업인들의 불만이 최고조에 달해 있는 실정이다. 급기야 작년에는 어업인들이 불법 조업을 하는 중국어선을 직접 나포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두 번째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 인천국제공항·신항건설 등에 따른 간척매립, 해사채취, 육상에서의 각종 오수 바다유입 등 환경적인 변화와 함께 어구·어법 및 어선 장비의 발전으로 어획강도가 강해져 수산자원의 총량적 감소가 가속화하고 있다.

세 번째는 수산자원을 무주물이라 생각하고 먼저 잡는 사람이 임자라는 어업인들의 인식이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으로 금어기 위반, 어린물고기 포획, 불법어구 바다 속 폐기, 과도한 어구 사용 등 무분별한 불법을 자행하고 있어 수산자원 고갈을 부추기고 있으나 행정기관의 단속 인력 및 장비 부족으로 인해 불법 조업을 원천 차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어려운 환경과 문제 속에서도 인천시는 관내 수산업 발전과 지속가능한 어업을 유지하기 위해 한정된 어장의 확장과 감소한 수산자원의 효율적 조성 및 관리에 힘쓰고 있다.

우선 한정된 어장에서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으로 인한 자원량 감소와 어획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작년 연평도 주변어장이 14㎢ 확장되었고, 올해 4월에는 중국어선 불법조업 차단을 전담하는 서해 5도 특별경비단이 창단돼 중국어선 퇴치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중국어선 불법 조업 방지시설(인공어초 형태)도 확대해 작년에는 100억원을 들여 715기를 설치했으며, 올해도 70억원을 들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어선의 출현 척수가 전년 동기대비 34% 감소했으며, 꽃게 어획량은 올해 상반기 기준 2204t으로 전년 대비 177% 증가했다. 특히, 연평지역의 어획량은 602t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2% 증가하는 등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함께 수산자원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인천의 대표어종인 꽃게의 자원량 확대를 위해 서해 5도의 경우 꽃게 금어기를 7~8월로 정하여 산란·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고, 작년에는 약 5억원을 들여 어린 꽃게 516만미를 방류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2억여원을 들여 어린 꽃게 128만미를 방류했다.

특히 지속적인 자원관리를 위해 2003년부터 정해진 어획량만큼만 꽃게를 잡을 수 있는 총량관리(TAC)가 시행되고 있으며, 홍어도 2009년부터 총량관리가 시행돼 자원의 남획을 방지하고 효율적 관리를 하고 있다.

앞으로의 수산업은 지금까지의 잡는 어업 위주에서 벗어나 기르는 어업을 육성하고 어획된 수산물의 유통·가공·판매를 아우르는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이밖에도 수산업을 지속가능하게 영위하기 위해서는 어업인 스스로가 주인정신을 갖고 해양환경 보호, 무분별한 남획 금지, 자원 조성과 회복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불법어업 단속, 수산물가공시설 지원 등 행정적인 지원도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강종욱 인천시 해양항공국 수산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