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갑내기 사촌 송몽규 일생도 그려
일제강점기 지식인들 고뇌 묘사 '생생'

영화 '동주'는 제목 그대로 시인 윤동주의 삶을 다뤘지만 핵심은 그의 동반자인 동갑내기 사촌 송몽규의 일생을 함께 그린 작품이다.

이준익 감독은 흑백영화를 통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던 윤동주의 시를 꺼내들었고 알려지지 않았던 이름 송몽규를 일깨웠다.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전개로 진행된다. 윤동주(강하늘)가 후쿠오카 교도소에서 심문 받는 장면과 그의 기억을 교차해 비춘다.

북간도에서부터 도쿄를 거쳐 마지막 종착지로 오기까지 윤동주의 곁에는 늘 시가 함께 있었다.

윤동주는 시와 독립운동 사이에서 갈등했으며 시대적 상황은 시인의 길을 가고 싶었던 그의 꿈을 가로막는다. 결국 윤동주는 독립운동에 가담하지 않았지만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일본 형사에게 머리를 깎이고 끝없는 불안에 시달린다.

송몽규(박정민)는 세상을 사랑했던 청년으로 일제강점기에 맞서 국가를 위해 저항한다. 창씨개명과 강제징용 등 일본의 억압이 심해질수록 더욱 치밀하게 독립의 길을 모색했다. 중국으로 떠나 독립운동 단체에 가입하고 일본에 있는 조선인 유학생들을 모아 힘을 합쳤다.

하지만 윤동주가 송몽규와 함께 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자 동주에게는 시인이 더 어울린다며 받아들이지 않는다.

두 사람의 독립을 향한 지향점은 같지만 방법은 다르게 나타난다. 성격으로 따지자면 윤동주는 내성적이고 송몽규는 행동이 앞서는 적극적인 인물이다.

이러한 윤동주와 송몽규의 캐릭터는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의 고뇌를 현실감 있게 묘사하며 이야기에 활력을 더한다.

'쉽게 쓰여진 시', '서시', '참회록' 등 배우 강하늘의 내레이션으로 들리는 윤동주의 시는 감성을 자극한다. 특히 윤동주가 교도소에 있을 때 작은 창살을 통해 보여주는 밤하늘의 별들은 시의 이미지와 함께 더욱 슬프게 다가온다.

'동주'는 시인 윤동주보다 그의 삶 자체에 집중하는 영화다. 이어 비극적인 윤동주와 송몽규의 죽음을 통해 미처 몰랐던 사실을 깨닫게 한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시를 써가며 부끄럽지 않기 위해 투쟁한 시인과 나라를 위해 몸 바친 독립운동가는 관객의 마음을 울린다.

영화는 사실을 바탕으로 상상력과 함께 허구가 더해져 구성됐다. 하지만 음악이나 연기를 통한 과도한 감성 자극이 아닌 잔잔하고 담담한 전개는 그 경계를 무너뜨린다.

강하늘과 박정민 두 배우의 연기는 과거의 동주와 몽규를 보는 듯 영화 속에 스며들었다. 특히 연변에 있는 송몽규의 묘소에 다녀올 정도로 배역에 대한 진지함을 보이며 열연을 펼친 박정민은 '동주'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월 17일 개봉. 12세 관람가. 110분


/김신영 기자 happy181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