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5년간 25.7% 늘어
인력양성교육 서비스업 치중
공급 과잉 … 경쟁력 강화 필요
인천 계양구에서 7년 가까이 미용실을 운영한 김모(45)씨는 얼마 전 가게를 정리하기로 마음 먹었다. 계속된 적자에도 포기하지 않았던 미용실이지만,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김씨는 "40대 중반 넘어 남의 가게에서 일하는 것도 그렇고 해서, 제조업체 생산직을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유명 체인 미용실의 헤어 디자이너 출신인 김씨는 미용실을 창업하던 2008년쯤엔 나름 매출이 괜찮았다고 한다. 가게 임대료가 높은 시내나 대로변이 아닌 골목상권을 노린 것도 나름 묘수로 작용했다. 유명 미용실에서 연마한 최신 기술이 고객들 사이에서 입소문으로 퍼지기 시작하며 어렵지 않게 단골 손님도 여럿 확보할 수 있었다. 특히 주택가에 위치해 비교적 적은 임대료를 지불한 게 수입 상승의 요인이 됐다. 호시절은 딱 2년 정도에 그쳤다는 게 김씨의 설명이다. 김씨는 "가게를 열던 당시와 비교하면 주변에 미용실이 5개는 늘었다"며 "동네 상권 소비자는 한정돼 있는데, 이를 여러 업체가 나눠 갖다 보니 적자를 피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소비자 수요는 그대로인 상황에서 급증한 공급은 업체간 출혈 경쟁으로 이어졌다. 김씨는 "물가 오름세에 맞게 펌이나 커트 가격을 조정해야 하는데, 가격을 올리기는 커녕 오히려 내렸다"며 "거기다 근처 먹자골목 상권이 팽창하면서 월세까지 올라 가망이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요즘 인천지역 시내에서부터 골목까지 편의점만큼 보기 쉬운 게 미용실이다. 새로 생기는 미용실도 많지만, 영업난에 문을 닫는 곳도 부지기수다. 큰 체인 미용실 아니면 생계를 위해 소자본으로 창업하는 게 보통이다. 불경기가 빚어낸 생계형 창업의 또다른 비애라는 시각과 함께, 이·미용 훈련 수요만 고려해 무분별하게 인력양성을 추진한 정부와 관련 기관에 잘못을 돌려야 한다는 쓴소리도 있다.

1일 통계청 자료 등을 보면 인천에 매년 미용실 숫자가 늘고 있다. 김씨가 가게 문을 열었던 2008년 4431개였는데, 2013년 5573개로 1000개 이상 훌쩍 증가했다. 불과 5년만에 미용실 수가 25.7%나 급증한 것이다. 단순 계산으로 인천 인구가 2008년 262만9000명에서 2013년 287만명으로 9.1% 느는 동안 미용실은 이보다 16%p 가량 더 늘었으니, 업체간 출혈 경쟁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등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미용 인력양성 지원 시스템을 설정해 업계 경영난을 초래했다고 지적한다. 인천은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전체 인력양성 훈련의 70%가 서비스 분야에 치중돼 있다. 이 가운데 이·미용 및 헤어 디자인 직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인천지역 인력양성 기관 관계자는 "정부나 지자체, 인력양성 기관들이 고졸자, 경력단절 여성, 중년 재취업을 위한 해법으로 이·미용이나 제빵 등 서비스 업종만 내세우며 지원금을 늘리고 있다"며 "교육 기관이나 시설들은 이 지원금을 받기 위해 중복 또는 유사한 프로그램을 내놓으면서 관련 인력만 과잉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용 업종의 경우 유행에 민감해 자격증 취득 후에도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 기회가 중요한데, 정부 등에선 이에 대한 지원은 무관심하다는 지적도 있다. 유명 미용실들은 각종 협회 등을 통해 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서 경쟁력을 올리는 동안, 생계형 미용실은 비용 부담 등으로 업계 변화에서 도태되는 것이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