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장 건립·사후 관리 비용 절감·환경보존 효과" 강조
2020 하계대회 개최지 日 썰매종목 교류방안 적극 권유
건설 중단 위약금·선수 숙소·수송 포함 이중부담 우려
조직위 "연임 염두 지나친 의욕 … 2022년부터 시행해야"
▲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2018평창동계올림픽 한·일 분산 개최를 제안해 강원도와 개최지역 등이 거세게 반발하는 가운데 8일 분산 종목으로 거론되는 슬라이딩 센터의 공사가 희뿌연 안갯속에 한창이다. 강원도는 지난 3월 1228억원을 들여 17만7000㎡에 봅슬레이와 스켈레톤, 루지 경기가 열릴 슬라이딩센터 기공식을 했으며, 현재 공정률은 30%이다. /연합뉴스
지난 2011년 강원도 평창이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경쟁도시인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던 부분은 조밀한(compact) 경기장 배치와 올림픽 유산(legacy)이었다.

'모든 경기장은 1시간 이내 거리에 있어야 한다'는 당시 IOC의 권고안에 따라 평창유치위원회는 평창을 중심으로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 경기장 건립계획을 밝혔다.

또 동계스포츠의 불모지인 평창에 각종 경기장을 건립하고 사후 활용해 동북아시아에서 동계스포츠 확산에도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혀 IOC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그러나 불과 3년여 만에 IOC가 입장을 바꿨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지난 8일 모나코 총회에서 '어젠다 2020'을 통과시키면서 올림픽 개최비용 절감과 사후 활용을 위해 '분산 개최'를 강조하고 나섰다.

IOC가 종전에는 성대하게 올림픽을 치를 수 있는 시설을 계속 강조하다가 갑자기 비용 절감을 최우선 개혁안으로 빼들고 나선 것은 역대 올림픽 개최도시들이 적지않은 적자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특히 올 2월 열린 소치 동계올림픽에는 러시아가 역대 최고인 57조원 가량을 쏟아부어 올림픽 유치를 꿈꾸던 다른 후보 도시들이 엄두를 내지 못하게 만들었다.

실제 2022년 동계올림픽은 유치 신청했던 노르웨이 오슬로가 포기하면서 중국 베이징과 카자흐스탄 알마티 두 도시만 남았다.

유치 후보도시가 줄어들면서 IOC가 위기감을 느끼게 됐다.

IOC 총회에서 '어젠다 2020'을 통과시킨 바흐 위원장은 2018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는 평창과 2020년 하계올림픽을 유치한 도쿄가 종목을 교류 개최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국내에서는 전라북도 무주가 스키 종목을 분산 개최하자고 적극적인 의욕을 보이고 있다.

평창이 IOC의 권유대로 썰매종목을 일본 나가노 또는 유럽이나 미국에서 치르게 되면 건립 비용을 절감하고 사후 관리도 용이해 질 것이며 환경파괴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웃나라 일본과 분산 개최를 통해 올림픽 열기를 양국에서 띄우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최근 험악한 한일 관계 회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은 문제도 있다.

평창올림픽은 도로망 등 기간 시설까지 포함해 총 개최 비용이 11조원을 웃돌 전망이다.

평창 슬라이딩센터 건립 비용은 1300억원으로 총 예산의 1% 남짓하다.

이미 공사를 시작한 슬라이딩센터를 포기할 경우 업체 위약금과 복구 비용이 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만약 건립 20년이 지난 나가노의 슬라이딩센터를 이용할 경우 리모델링이 불가피하다.

평창조직위 관계자는 "선수들 숙소 건립과 수송 비용 등을 감안하면 오히려 비용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뿐만 아니라 유럽이나 북미에서 썰매경기를 열더라도 반드시 리모델링을 해야하고 수송· 안전·숙박·출입국·통역은 물론 대회진행요원과 자원봉사자 모집 등 각종 복잡한 문제가 얽혀 있다.

그럼에도 IOC가 주장하는 '분산개최'는 추후 관리비용 절감과 환경 보존 면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개혁안은 2022년 올림픽 개최도시부터 적용하는 것이 혼란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는 지적이 높다.

한국과 일본이 함께 치른 한·일 월드컵은 유치 과정에서 양국이 공동 개최를 합의했기 때문에 혼란을 막을 수 있었다.

평창조직위 관계자는 "바흐 위원장은 임기는 2021년에 끝난다"면서 "재임기간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만 연임이 가능하다고 보고 지나친 의욕을 보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2022년 동계올림픽을 베이징이나 알마티가 유치하면 썰매 경기를 평창 슬라이딩센터에서 치를 수 있는 것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