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무수단리에 설치된 기존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기지보다 규모가 더 크고 기능이 향상된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지를 비밀리에 서해안에 건설했다고 미국의 민간전문가들이 주장했다.

   제인스 인포메이션 그룹의 전문가인 조지프 버뮤디즈는 올해 봄 이러한 미사일 발사기지를 처음 확인한 후 위성사진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업체인 탤런트-키홀 닷컴의 팀 브라운과 함께 상업용 위성사진을 이용해 기지의 건설작업을 추적해왔다고 AP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이들에 따르면 새 기지는 `봉동리(Pongdong-ni)'라는 작은 마을에 건설됐으며 이동 가능한 발사대와, 탄도미사일이나 로켓을 지지할 수 있는 10층 높이의 타워로 이뤄져 있다.

   또 이란의 테헤란 외곽에 들어선 로켓 시험시설과 비슷한 규모로 로켓 모터를 테스트하는 시설도 들어서 있다.

   버뮤디즈는 AP와의 인터뷰에서 미사일 발사대가 2005년 이후 가동 상태에 있었으나 아직 한 번도 사용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하고 북한이 사정이 더 길고 정확도가 뛰어난 ICBM을 개발하는데 이 기지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이 기지의 건설작업은 적어도 8년 전에 착수됐으며 아직까지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가까운 장래에 미사일의 발사가 이뤄지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브라운은 강조했다.

   이 기지는 특히 인공위성의 발사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지는 그러나 미사일이 발사대로 옮겨지기 전 최종 조립이 이뤄지는 수직형태의 조립 건물이 갖춰져 있지 않은데다 레이더추적시설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북한은 실제 실험에서 이동식 레이더 시스템이나 함선에 장착된 레이더 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또 공습으로부터 이 시설을 방어할 수 있는 방공시스템도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곳에는 엔진 테스트 스탠드가 갖춰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 시설은 엔진의 진동을 측정하고 유도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버뮤디즈는 "이 기지의 주된 목적은 시험용"이라면서 "이는 특히 북한이 탄도미사일 개발프로그램을 계속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버뮤디즈와 브라운은 이 기지에서 가장 가까운 마을의 이름을 따 이 기지를 `동창동(Tongch'ang-dong) 발사기지'라고 언급했으나 미 정보당국은 이런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한 관리는 미국 정보당국이 북한의 새 미사일 기지의 존재 사실을 수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북한은 미국정부가 핵개발프로그램을 폐기하도록 설득 노력을 재개한 이후에도 이 기지의 건설작업을 계속 진행했다.

   버뮤디즈는 `제인스 닷컴(Janes.com)' 사이트와 17일자 제인스디펜스위클리에 관련 위성사진을 공개할 예정이다.

   글로벌시큐리티(GlobalSecurity.org) 소속의 위성사진 분석전문가인 존 파이크에 따르면 북한의 기존 미사일발사기지인 무수단리 기지의 경우 규모가 작아 단기간에 여러 시험을 실시할 수 없다. 반면 새 기지는 규모가 크고 훨씬 더 정교해, 짧은 시간에 여러 차례 발사 실험을 할 수 있어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큰 진전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 시설은 무수단리 기지와 달리 대부분 구릉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 정찰로부터 훨씬 더 잘 보호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크는 "이 기지는 북한이 원자폭탄을 미국본토로 날려 보낼 수 있는 미사일 능력을 갖추려는 의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AP와 인터뷰한 파이크와 브라운 두 사람은 9년 전 워싱턴 소재 미국과학자연맹 소속으로 무수단리 기지의 존재를 함께 확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