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덩이처럼 불어나던 해외 유학.연수비의 지출액이 올해 상반기중 10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그동안 어학연수나 조기유학은 펭귄아빠, 기러기아빠, 영어난민 등 각종 신조어를 만들어내면서 사회적 문제가 됐다. 유학연수비의 지출액은 서비스수지 적자를 확대하는 주범이었다.

   유학연수의 급증세가 꺾인 배경으로 일각에서는 경기 침체와 환율 상승을 꼽고 있다. 그러나 유학연수의 절대적인 규모가 이미 한계에 이르렀고 국내 영어교육 프로그램이 개선되고 있는 데다 대학 입시나 취업에서 영어의 비중이 이전만큼 크지 않은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 유학연수 급증세에 제동
17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해외유학.연수비 대외지급액은 22억5천580만 달러로 작년 상반기에 비해 5.8%인 1억3천770만 달러 감소했다.

   지급액이 줄어든 것은 일시적으로 환율이 급등한 2001년 이후 7년 만에 처음이고 감소폭으로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다.

   상반기 기준으로 유학연수비는 1998년 2억220만 달러가 급감한 이후 1999년(2천890만 달러), 2000년(4천820만 달러), 2001년(-2천120만 달러)까지 큰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2002년부터 급증세를 보이면서 2006년에는 증가액이 5억2천240만 달러에 달했다. 지난해에도 3억3천570만 달러가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 증감률을 보면 2002년 47.1%, 2003년 29.3%, 2004년 32.7%, 2005년 40.7%, 2006년 34.0% 등으로 매년 30~40%대 고공행진을 벌였으나 지난해 16.3%로 둔화된데 이어 올해는 아예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양재룡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상반기 기준으로 매년 급증세를 이어가다가 올해 상반기에 완전히 고꾸라졌다"며 "일단 유학연수가 꼭지를 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연간 기준으로는 1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유학연수 지급액은 외환위기의 충격으로 1997년 11억5천770만 달러에서 1998년 8억2천970만 달러로 큰 폭으로 줄었으나 그 이후로는 매년 가파르게 늘어 지난해에는 50억980만 달러에 달했다.

   ◇ "추세적 감소 전망"
해외유학.연수비가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기존의 흐름이 추세적으로 꺾였다는 분석이 많다. 유학.연수의 절대적인 규모 자체가 거의 정점에 달했기 때문에 더 이상 증가세를 이어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원.달러 환율의 상승이나 경기 침체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지만 이 것만으로는 설명이 충분치 않다. 올해 원.달러 환율의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로 1분기 1.8%, 2분기 9.4%로 2001년(1분기 13.0%, 2분기 16.9%)에 비해 크게 낮다.

   2001년과 비교할 때 환율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감소폭은 6배 이상 크다. 이에 따라 유학연수의 장점이 이전만 못한 데다 이명박 정부 들어 국내 영어교육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된 점도 분위기 반전의 배경으로 꼽힌다.

   한은의 양재룡 팀장은 "새 정부 들어 국내 영어교육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데다 해외에 보낸 자녀의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어 유학연수가 줄어든 것 같다"면서 "대학입시에서 영어의 비중이 이전만큼 크지 않은 점도 유학연수의 감소 원인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지의 학비 부담 자체가 늘어난 것도 원인으로 거론된다. 한 유학연수업체 관계자는 "현지 학교들이 달러기준 학비를 올리고 있다"며 "학부모로서는 부담이 적지 않기 때문에 외국에 갔다가 되돌아오거나 유학.연수 계획을 포기하고 국내에 잔류하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YBM유학센터 차경신 차장은 "예년처럼 (해외 연수에 대한) 기대치가 올라가는 분위기는 아닌 것 같다"며 "환율 요인, 새 정부의 교육정책을 지켜보자는 심리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올해 들어 국내 영어캠프가 인기를 끌고 있다"며 "해외 프로그램보다 비용이 저렴한데다 프로그램도 많이 개선된데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