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부 기업들이 여전히 장애인 고용을 기피하고 있다는 보도는 결코 바람직스런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300인 이상 사업체에 대해 2% 이상의 장애인 고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장애인 고용 대신 1인당 50만원씩의 과징금만 내면 그만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고용을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장애인들의 입지가 좁다. 특히 일부 기업은 장애인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장애인 고용촉진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장애인 고용문제는 자유스럽지 못한 장애인들에게는 사활이 걸린 일이다. 그런데도 장애인을 보살펴야 할 기업들이 부당하게 고용을 외면하고 있다면 지탄받아 마땅하다. 한국 장애인고용촉진공단 경기지사에 따르면 2005년 말 현재 도내 50인 이상 근로자 기업 3천248개 가운데 장애인을 2% 이상 채용한 기업은 절반인 1천728개 업체 뿐이고 나머지 46%인 1천520개 업체가 장애인 의무기준을 지키지 않았다. 특히 36%인 1천200여개 업체는 장애인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기업이 장애인을 냉대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을 기피하는 이유가 채용기준에 맞는 장애인이 없다거나 장애인 시설 등 근무환경조성 미비, 특히 생산능률 하락 등을 꼽고 있다니 기업의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생각과 편견이 지나치다고 볼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를 가리켜 '사고왕국'이라 부른다. 교통사고는 물론 사업장에서 각종 재해사고로 다치는 등 장애인이 해마다 늘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잘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런 장애인들이 사회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면 큰 일이다. 물론 기업들이 장애인을 고용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으리라는 것을 모르지 않는다. 그렇다고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을 기피한다면 그들을 누가 보호하겠는가. 기업들은 이익의 지역사회 환원 차원에서 혹 덜 미덥더라도 장애인을 채용, 훈련시키면 된다. 기업들의 장애인 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고용법의 고용형태에 대한 규정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기업가적 정신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