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전국항만물동량예측치 결과 발표를 두 달 가까이 늦추면서 이를 둘러싼 억측이 무성해지고 있다.
특히 부산과 인천항 관련업계는 해수부가 결과발표를 늦추는 것은 의도적으로 광양항을 키우고 부산·인천 물동량을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여기에 부산과 광양항에 대한 오는 2020년까지의 물동량예측결과가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부산지역 시민단체들이 해수부가 이번 물동량예측치를 조작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강무현 해수부 차관은 15일 오전 11시 해수부 7층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011년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물동량이 지난 2002년 발표했던 3천만TEU(1TEU는 20피트짜리 1개 기준)보다 줄어든 2천700만TEU로 예측됐다”며 “각 항만별 통계는 오는 25일 관계 전문가와 지역시민단체들이 참석하는 공청회를 통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강 차관은 “물동량 예측치는 각 지역별로 예민한 문제일 뿐 아니라 항만개발계획과 연계돼 여러 가지 문제가 파생될 수 있는 만큼 여러 전문가들의 검증과정을 거쳐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강 차관은 “이번 물동량예측치는 항만법에 따라 5년 단위로 당초 올해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동북아물류환경이 급변해 1년 앞당겨 지난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연구용역을 의뢰, 12월 용역보고서를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2011년 컨테이너물동량이 부산 1천510만4천TEU, 광양 691만3천TEU, 오는 2020년 부산 2천101만8천TEU, 광양 1천596만5천TEU라는 KMI 연구결과가 일부 언론을 통해 흘러나오면서 부산항만업계가 광양항 물동량이 과대포장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인천항만업계는 해수부가 발표는 하지 않았으나 오는 2011년 전국컨테이너 예측 물동량 중 부산과 광양항을 제외한 500만TEU가 나머지 항만의 물량이라고 봤을 때 인천항은 기대 이하의 수준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강 차관은 이날 “물동량예측치 결과 때문에 이미 확정된 항만개발계획을 전면 유보하는 등의 큰 영향은 없겠지만 일부 시기조정은 있어야 될 것”이라며 물동량 예측치 결과가 가져올 변화를 언급, 오는 25일 공청회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백범진기자 blog.itimes.co.kr/bjpa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