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업행정이 호된 비판을 받고 있다. 정책부재가 주된 이유다. 중앙정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정부마저 이 모양이니 도내 농민들로써는 답답한 노릇이다. 아무리 첨단산업이 중시되는 분위기라 해도 농업은 우리의 전통과 먹을거리를 지키는 전략분야라는 점에서 결코 소홀히 취급돼선 안 된다.
 농촌분야는 도시화 영향 등으로 급감 추세다. 도내 농가는 14만여 가구, 인구수는 48만명 남짓하다. 전체 가구와 인구수에 견준다면 미미한 편이다. 이 때문인지 농업은 도정(道政)에서 홀대받기 일쑤이다. 올해 수립된 도의 농업정책이라 해봐자 논농업 직접지불제, 경지정리사업 등이 고작이다. 일반 경제시책에 비해 너무도 빈약한 내용이다. 이마저 정부시책을 재탕한 것 일색이다.
 그러니 실효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도내 농가 1호당 부채액은 지난해 19만4천원에서 올해는 오히려 21만6천원으로 높아졌다. 앞으로도 시장은 나아질 기미가 없다. 연이은 자연재해, 시장개방 등 들려오는 것이 흉흉한 소식뿐이다. 그렇다고 농업의 중요성이 낮아진 것은 아니다. 소비량이 줄고 있다 해도 쌀은 여전히 우리의 주식(主食)이다. 경기도의 경우 농업의 전국비중이 경북, 전남, 충남, 경남에 이어 5번째로 높다. 지원만 제대로 된다면 농가의 경쟁력 확보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물론 농업문제가 지방정부 혼자만의 노력으로 해결될 사안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 해도 중앙정부가 제대로 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농특세의 경우만 해도 집행관리가 9개 부처로 분산돼 있어 작년까지 징수한 13조66억원의 사용내역조차 파악치 못하고 있다. 농림부도 여론조사에서 농가부채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자 그 결과를 폐기하려다 비판을 받고 있다. 농민들이 지방정부에 의지하려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도내 농민들에게 지금은 무엇보다 대변자이자 애정있는 지원자가 절실하다. 애로사항을 파악해 중앙정부에 대책마련을 촉구하려 해도 농민만으로는 버거운 일이다.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보센터 개설도 시급하다. 일반 도민들이 농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홍보활동도 필요하다. 지방정부가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