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선전철 지하화 논란이 언제까지 갈 것인가. 수인선 건설방식을 둘러싼 철도청과 시민단체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 타협과 절충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7년이 넘게 표류하는 것을 지켜보는 시민들로선 답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부는 수도권의 급증하는 교통 수요를 원할히 수용하기위해 지난 95년부터 수원~인천간 기존철도 52.8km의 복선 전철화사업을 추진해 지난 2000년 7월 안산선과 연결되는 한양대~오이도 구간 12.4km를 개통했다. 그러나 인천 구간은 지하화 여부를 둘러싼 논란 때문에 아직 착공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수인선 전철 건설은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된다. 지하화 논쟁으로 줄다리기를 하며 더 이상 허송 세월을 보낼 수는 없는 일이다. 철도청은 내달 17일까지 주민 공람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에 착공, 오는 2008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을 밝혔으나 시민단체의 반대가 워낙 거세 추진 여부가 아직도 미지수다. 수인선 인천 구간인 오이도역~인천역간 20.6km가운데 송도역~인천역 6.2km 구간은 전면 지하화하기로 합의했으나 철도청이 연수구 통과구간 4.9km의 지상화를 고집, 주민들과 시민단체의 반발에 부딪쳐 있는 것이다. 구(舊) 도심권을 지하화하면서 연수구 통과 구간을 지상화로 건설하겠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
 수인선전철 지상화 계획은 당초부터 잘못된 판단이었다. 철도가 도심 한복판을 지나는 것은 쾌적한 주거환경을 해칠 뿐만 아니라 도시를 양분해 지역의 균형 발전을 얼마나 저해하는지를 우리는 경인전철에서 절감하고 있다. 지하화 논란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검토할 과제다. 선진국 대도시의 전철은 모두 지하화로 건설됐는데 후진적인 교통체계를 고집하는 것은 눈앞의 것만 보고 보다 큰 것은 보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시각이다.
철도청은 산업철도 겸용이나 건설비 추가부담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미래지향적으로 내다 보아야 한다. 경제자유구역인 송도신도시가 세계적인 관심을 모으고있다는 점에서도 수인선 인천구간의 전면 지하화는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