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인천시청 앞 애뜰광장에서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 추모문화제’가 열린 가운데 추모 손 글씨 나눔 부스에서 캘리그라퍼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오늘 이 자리에 모여 2014년 4월 16일을 기억하는 여러분이 있어 함께 만드는 안전한 세상이 반드시 올 거라 믿습니다.”

13일 오후 2시 인천시청 앞 애뜰광장은 시민들로 붐볐다. 유모차를 끌거나 어린 자녀 손을 잡고 온 가족들도 눈에 띄었다.

이곳에서 열리는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 추모문화제 ‘열 번째 봄, 내일을 위한 그리움’에 참석하기 위해 수많은 시민이 발걸음을 한 것이다.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위원회와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이 주최한 행사는 치어 리딩 공연으로 막을 연 뒤 이병국 시인의 시 낭송과 일본 ‘일어서라 합창단’ 공연이 이어졌다.

광장에서는 추모 글쓰기와 추모 깃발 꾸미기, 서리화 만들기 등 시민 참여 부스도 운영됐다.

세월호 삼행시 대회에 참여한 정규리(10)양은 “학교에서 세월호 관련 영상도 보고 노란 리본을 만들어 복도 벽에 붙이기도 했다”며 “세월호 참사를 생각하면 안타깝다”고 전했다.

4살 아들과 함께 온 하유미(47·여)씨는 “사회적 참사와 사고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이런 문제가 해결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세월호를 기억하려는 마음으로 왔다”고 말했다.

▲ 13일 인천시청 애뜰광장에서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 추모문화제’가 열린 가운데 행사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추모문화제에는 인현동 화재 참사 유가족과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도 참석해 그 의미를 더했다.

유형우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부위원장은 “세월호와 지난 참사들을 기억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노력하고 연대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함께 목소리를 내고자 찾아왔다”고 강조했다.

이광호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시민들이 10년 전에 ‘잊지 않을게, 기억할게, 끝까지 함께 할게, 진실을 밝힐게’라고 했는데 그 약속을 꼭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글·사진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



관련기사
[세월호 10주기-슬픔의 봄, 그날을 기억하다] ① 아이들 안전한 세상 올 때까지…잊지 않겠습니다 “잊지않았습니다”또 4월. 어김없이 찾아오는 사무침. 산에 들에 상춘객들의 아우성 속 흩날리는 벚꽃은 야속하기만 하다. 그날도 그랬다. 476명의 '봄'을 싣고 인천항을 출발한 여객선...304명의 '봄'은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벌써 10년, 어김없이 잔인한 4월이 찾아왔다. 우리는 노란빛으로 젖어있던 10년을 잊지않았다. 또 황금빛으로 물들어 갈 10년을 다시 기억하려 한다. 세월호 10년의 발자취를 기록해 온 인천일보가 잊지않기 위해 다시 한번 그날의 기억을 꺼냈다. <편집자주>▲노란리본 꽃이 피었습 [세월호 10주기-슬픔의 봄, 그날을 기억하다] ①세월은 우리를 잊어도…우리는 세월을 잊지 말자 “미안합니다.” 언제부턴가 이 말을 들으면 세월호 희생자들이 먼저 떠오른다. 구해주지 못해서 미안하고 자주 기억하지 못해서 미안하다. 대한민국을 슬픔과 상처로 관통하는 세월호가 돌아오지 못한 지 꼭 10년이 됐다. 누군가는 아픔을 극복하기 위해선 그 기억을 잊어야 한다고 했던가. 하지만 세월호는 결코 감히 잊을 수가 없다. 계속 미안해하고 아파해야 한다. 그럴수록 대한민국에 안전의식이 뿌리를 더 깊게 내려 제2의 참사가 일어나지 않을 터. 또한 유가족들의 슬픔을 달래주는 일이기도 하다. 인천일보는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유족을 “아픔 극복하고 세상 바꾸는 장소로 기억하길” “기록은 마음을 모으는 것이고 마음을 모으는 것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것입니다.”세월호 참사 10주기를 앞둔 지난 12일 4·16민주시민교육원에서는 '단원고 4·16기억교실'에 대한 가치를 돌아보는 특별한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4·16기억교실'은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 희생 학생 250명, 희생 교사 11명이 마지막 수업을 했던 공간이다. 4·16기억교실은 단원고등학교에서 안산교육지원청으로 옮긴 뒤 2020년 민주시민교육원으로 이전됐다. 4·16기억교실에는 당시 학생들이 사용했던 책걸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