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형 늘봄학교'가 시작된 지 3주가 지났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3월5일부터 도내 모든 초등학교(2741개교)에서 1학년생을 대상으로 늘봄학교 시행에 들어갔다. 늘봄학교는 현 정부가 교육 부문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문제는 학교 현장에서 여전히 교사단체를 중심으로 반발의 목소리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도입 초기의 혼선과 시행착오를 넘어 늘봄학교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려면, 학교 현장의 문제점과 과제를 면밀히 파악하고 치밀한 보완책을 서둘러야 한다.

경기도형 늘봄학교에 참여하는 초등 1년생은 전체 학생의 64.1%인 5만7000여명에 이른다. 희망학생은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늘봄학교 프로그램은 정규수업 이후 2시간가량 진행된다. 그러나 경기전교조는 도내 늘봄학교 운영 270개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교사를 늘봄 강사로 투입해 수업 준비에 차질이 생기기도 하고, 무분별한 기간제 교사 채용으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늘봄학교 기간제 교사를 채용하지 못해 정교사가 업무에 투입된 곳이 조사대상의 19%에 이르렀다. 아동관리 문제로 기간제교사와 담임교사 간 마찰이 빚어진 학교도 있었다.

또한 일부 학교에서는 공간 부족으로 인해 애로도 발생하고 있다. 늘봄교실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교사들이 방과 후 기초학력 증진 추가학습 등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심지어 학교복도에서 업무를 처리하거나, 특별실 활용 시수가 줄어드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전교조의 주장이다. 늘봄학교 지원체계는 2025년에나 갖춰질 예정이므로 당분간 이 같은 혼선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물론 전교조의 주장만으로 늘봄학교가 졸속 제도라고 판정하는 것은 섣부르다. 하지만 교육인력 문제, 아동관리 문제, 공간부족 문제는 빠르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틀림없다. 그렇지 않아도 늘봄학교와 늘봄교실 운영이 본격화하면 더 많은 문제점이 노정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경기도교육청은 2학기가 되기 전에 서둘러 학교 현장을 다시 점검해서 같은 지적을 또 받는 일이 없도록 해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