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인천의 인구가 사상 첫 300만 시대를 열었다. 1980년 부산이 300만명을 넘긴 뒤 이뤄진 것이어서 뜻 깊다. 인천이 지난 1981년 직할시로, 1995년 광역시로 전환된 지 40년을 훌쩍 뛰어넘는 일이다. 2030년 이후엔 부산시를 따돌리고 특·광역시 중 서울 다음으로 많은 인구를 기록할 것이라고 통계청은 내다본 상황이다.

인천시는 지난달 29일 기준 주민등록인구 300만43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과 부산에 이어 세 번째 인구 300만 이상 도시를 완성한 셈이다. 서울과 부산에서 몇 년 동안 인구가 급감했던 수치와 달리, 인천의 인구 상승세는 눈에 띨 수밖에 없다. 2022년 대비 지난해 말 기준 인천 인구는 3만96명 늘어 전국 7대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외국인까지 포함하면 인천지역 인구는 308만1059명에 달한다.

인구 확장에 따라 지역 경제 규모도 성장세를 나타낸다. 지난해 12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2년 지역소득'에 따르면, 2022년도 인천의 지역내총생산은 역대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선 104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질 경제성장률도 전국 평균 성장률 2.6%를 크게 웃도는 6%를 기록했다. 2년 연속 6%대를 보인다.

정부 통계상 인천의 인구 순유입은 전 연령층에서 고르게 발생했다. 그중에서도 20∼30대가 많이 들어왔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20대는 서울과 세종에 이어, 30대는 첫 번째로 각각 높았다. 반면 '자연적 요인'인 출생률 면에선 인천도 '국가적 위기'에서 예외일 순 없었다. 지난해 인천 출생아는 1만3899명으로 사망자의 76%에 그쳤다.

이런 몸집 불리기에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도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우선 인천의 인구 확대는 지역 불균형으로 이뤄진 산물로 여겨진다. 10개 군·구 중 2020년 접어들며 인구수가 늘어난 곳은 서구·연수구·중구·미추홀구뿐이다. 원도심으로 분류되는 중구와 미추홀구의 인구 변화는 크지 않은데, 국제도시와 대규모 신도시를 지닌 지자체가 인천의 인구 상승을 주도했다는 분석이다.

여느 대도시에서 보듯, 시민 삶의 질이 얼마나 높은지를 평가 대상으로 삼는 일은 당연하다. 정치와 행정 등의 수준이 시민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이는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인천의 주거 조건은 일부 계획된 신도시를 제외하곤 열악하다는 평을 듣는다. 이처럼 질적 성장이 뒤따르지 않으면, 인천의 300만 인구는 평가절하될 수밖에 없다. 원도심과 신도심의 균형 발전으로 '세계 10대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했으면 싶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