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출퇴근 교통 문제는 대안이 없을 정도로 심각해진 지 오래다. 인구 유입이 늘어나고 있지만 교통 인프라 구축이 뒤따르지 못해서다. 그중에서도 경기도에서 서울 출퇴근 문제는 난제 중 난제다. 천문학적 예산을 투입해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으나 백약이 무효여서 날이 갈수록 이용 시민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그나마 교통난을 해소하려면 출퇴근 시대에 맞춰 대중교통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와 다시 관심을 끌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통근행태 변화' 보고서를 발간하고 그 근거로 경기도의 출퇴근 특성을 지역별, 수단별로 분석한 자료를 제시했다.

본보가 보도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인구는 200만명으로 추산된다. 그중 승용차를 이용한 출퇴근은 55%,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퇴근은 약 45%로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리고 출퇴근 시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58.1분,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78.3분 소요돼 승용차 대비 대중교통 소요시간이 1.35배 수준이다. 반면 경기도 내의 출퇴근(시·군간 기준)의 경우 승용차 34분, 대중교통 71분으로 승용차 대비 대중교통 소요 시간이 2.1배에 달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고통을 해결하려면 시내버스와 전용차로 확대 같은 기본 정책을 시행하면서 인프라 확보에 나서야 출퇴근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물론 그렇게 하기 위해선 선결 해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운전기사의 처우개선을 비롯해 노선과 기사 확보가 절대적이다. 배차시간과 운행 대수를 늘려도 운전기사들이 없어 운행을 못 한다면 공허한 주장에 그칠 것이 자명해서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대중교통수단을 늘리기 위해선 운전기사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광역버스 등에 대한 지자체 지원도 확대하고, 전세버스 추가 투입과 증차, 제도 보완을 통한 중간 배차 도입 등도 검토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응급처방은 경기도의 힘 만으론 안 된다. 국토부, 서울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등과 협의, 장기적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