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관수 17개로 최하위
전국의 2.6%…경기는 많은 편

R&D 생태계·일자리 등 기여
전문가 “조직 효율성 제고돼야”

인천지역에 소재하는 혁신기관 수가 전국 대비 2.6%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도의 혁신사업이 일자리 창출이나 R&D 생태계 조성 등에 기여하는 만큼 안정적인 예산 확보를 위한 지자체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5일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의 '2023년도 인천연구개발 조사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연구개발지원단 조사기준에 부합하는 인천지역의 혁신기관은 총 17개다.

17개 광역지자체에 소재한 637개 혁신기관 중 인천 소재는 2.6%에 그치는 것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은 혁신기관 수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대전 58개로 가장 많은 혁신 기관이 있으며, 충북 56개, 전북 55개, 서울 53개, 경기 48개, 부산 44개 순으로 높은 보유 현황을 보였다.

최하위인 인천 다음으로는 적은 보유량을 보인 지역은 제주 21개, 광주 22개, 울산 23개, 충남 28개 등이다.

지역혁신기관은 지역 내에서 인력·산업 등을 연계하고 활용해 기술 개발과 인력양성, 사업화 등을 지원하거나 직접 수행하는 기관을 뜻한다.

독립된 법인으로 설치된 기관과 중앙부처 사업수행을 위해 지침 등에서 지정하는 기관·협의체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테크노파크나 지역특화센터,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이 대표적이다.

인천지역 혁신기관 중 R&D 지원을 수행하는 곳은 인천연구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환경과학원,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인천테크노파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뿌리기술연구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항공안전기술원, 항공우주산학융합원 등 9곳이다.

연구개발 기능뿐 아니라 기술지원과 경영지원, 사업화 지원 등 다양한 범주의 기업지원 역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혁신기관에서 진행하는 각종 지역주도 상향식 지원사업이 R&D 생태계 확대와 지역 일자리 창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봤다.

R&D 지원을 비롯해 산학협력 정책수단들이 연계되면 선순환체계가 구축되며, 지역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기반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혁신기관의 안정적 운영으로 지역주도 혁신성장정책의 성과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윤윤규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주도 혁신성장의 고용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지역혁신기관은 지역혁신성장계획의 기획과 실행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므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라며 “지역혁신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지자체의 예산지원 확대와 조직 효율성 제고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해윤 기자 yu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