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혜 경기본사 사회부 기자.<br>
▲ 박지혜 경기본사 문화체육부 기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술가는 배고프다. 그림 한 점, 소설 한 편으로 부와 명예를 얻겠다는 야망보단 사회와 개인을 향한 영감을 표현하는 자체에 행복을 느끼는 예술의 속성이 그들을 배고프게 만든다.

'불규칙적인', '간헐적인'이란 뜻의 '앵테르미탕(Intermittent)'은 그런 예술가의 비애를 덜기 위해 프랑스 샤를 드골 정부에 도입된 복지제도다. 예술가들이 매달 벌어들이는 소득을 정부에 신고해 절반을 보험료로 내면, 수입이 없을 때 기준 소득을 보장해준다.

앵테르미탕은 예술을 한다는 이유로 생계를 걱정하고 창작활동에 제약을 받았던 예술인들의 고충을 덜어주며 프랑스를 '예술의 나라'로 만들었다.

이와 비슷하게 경기도에선 지난해 6월, 관련 조례까지 제정하며 '예술인기회소득'이 추진됐다. 연 150만원의 금액보다 예술인의 '자긍심'을 지켜줘 좋았다는 평가가 나올 만큼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낸 사업이지만, 올해도 수원·용인·고양·성남 등 도내에서도 시세가 가장 많이 걷히는 이른바 '부자' 지자체 4곳의 불참이 사실화되며 반발은 커졌다.

특히 참여하기로 한 수원시가 올해 참여가 어렵자 한 원로 예술인은 “무식하고 무지한 행태”라고 지적했다. 3조741억원 규모의 예산안을 확정하고도 연간 15억여원이 필요한 사업에 '재정부담'을 이유로 든 것은 차치하고서도, 걸핏하면 제일 먼저 삭감되는 예산과 지원에는 예술인을 향한 '저열한' 의식이 내재해 있다는 것이다.

예술인의 창작활동이 시민사회에 문화적, 사회적, 정신적 측면의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며 도시의 가치를 높이고, 인적 자산을 형성하는데, “행정이 낮은 수준의 이해도를 보인다”는 비판은 뼈아프기까지 하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문화예술인이 거주·활동하는 경기도는 진정 문화도시일까? 예술의 나라, 프랑스의 '앵테르미탕'이 지켜준 자긍심을 기억할 때다.

/박지혜 경기본사 문화체육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