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0~69살을 '신중년'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취·창업 등 '인생 2~3모작'을 위한 고용서비스 개선방안을 내놓은 지 6년이 지났다. 정부는 재정을 지원하는 모든 일자리 사업에 대해 고용영향평가를 강화하고, 사업 실적과 예산의 연계를 강화한다는 기조를 유지해 왔다. 신중년의 전문성과 경험을 활용하는 적합직무에 만 50살 이상 구직자를 고용하는 기업에 인건비를 대줘 신중년 재취업을 촉진하는 방안도 도입했다.

인천시의 경우 50·60세대의 커뮤니티 공간인 '신중년 아지트'를 운영하고,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을 통해 올해 들어 최근까지 88명의 취업을 성사시켰다고 한다. 경기도는 '경기도 이음 일자리 사업'을 통해 중장년 구직자의 재취업과 정규직 전환 기회 제공에 역점을 두고 있다.

문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의지에도 불구, 신중년 구직자의 일자리 찾기가 녹록지 않은 현실에 있다. 여기에는 신중년 구직자와 구인업체 간 부조화, 하루가 멀다고 급변하는 산업체계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신중년 일자리의 획기적 창출 문제는 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시기를 놓쳐선 안 될 우리 사회의 시대적 과제임을 모든 경제주체가 경각심을 갖고 인식해야 한다. 국내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층인 5060 세대의 은퇴 러시로 우리 사회는 '소득절벽 인구' 혹은 '빈곤층 인구'의 가파른 급증을 이미 경험하고 있다. 이는 전 연령층의 부담이자 국가적 재앙으로 닥칠 가능성이 높다.

지난달 기준 인천은 299만 명 인구 중 은퇴를 앞둔 50~59살 인구가 51만여 명(17.0%), 은퇴 전후 60~69살 인구는 44만여 명(14.7%)에 달한다. 경기는 1362만 명 인구 중 50~59살 인구가 232만여 명(17.0%), 60~69살 인구는 182만여 명(13.4%)에 이른다. 신중년 일자리 문제는 지속가능한 고용창출이 관건이다. 도미노처럼 발생할 노인 빈곤을 완충하는 차원에서 보다 적극성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