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천아트플랫폼을 위탁 운영하는 인천문화재단과 이달 말 계약을 종료한다. 그동안 인천시는 2년 단위로 인천문화재단과 위탁 계약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14년간 위탁운영을 맡겼다. 시는 인천문화재단이 낸 제안서를 바탕으로 정성·정량 평가와 시설운영 성과 등을 판단해 60점 이상이면 계약을 연장해 왔다. 그런데 이번에는 재계약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시가 기존 평가방법에 전문가 심사를 추가하며 평가와 선정 방식을 엄격하게 바꿨기 때문이다.

인천을 대표하는 문화예술 공간 중의 하나인 아트플랫폼 위탁운영사를 엄격히 선정하겠다는데 토를 달 이유는 없다. 그러나 평가방법 강화가 인천문화재단을 아트플랫폼 운영에서 손 떼게 하고 새 운영기관을 선정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나아가 아트플랫폼을 상권 활성화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기만 하다. 사실 최근 벌어지고 있는 여러 정황을 볼 때 아트플랫폼은 문화예술 기능과 정체성이 뿌리째 흔들릴 처지에 놓여 있다.

아트플랫폼의 중심 사업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인천 작가가 소외되었다, 레지던시 입주 작가 사후 관리가 부실하다, 시각예술에 편중되었다, 지역 주민과 소통하지 못한다, 주민 접근성이 막혀 있다, 지역 관광과 연계성이 떨어진다 등등 비난이 봇물 터지듯 나오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일까, 인천시는 아트플랫폼 개혁을 추진하며 아트플랫폼의 중심 사업인 레지던시 프로그램, 즉 입주작가 제도를 손보겠다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시는 인천문화재단에 아트플랫폼과 관련된 사업 중단을 요구했으며, 내년도 레지던시 작가 모집과 아트플랫폼 공간 대관사업 중단을 지시하기도 했다.

물론 아트플랫폼을 향한 비난에는 새겨들어야 할 내용도 있다. 그러나 그 비난의 내면에 문화예술을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는 물신주의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경계할 일이다. 지역 일각에서는 아트플랫폼을 관광·상업 중심의 복합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역 예술뿐만 아니라 관광 활성화에도 두루 기여하면 금상첨화겠지만, 본연의 목적에서 벗어나 정체성까지 뒤흔들어서는 안 된다. 아트플랫폼의 위기는 곧 인천 문화예술의 위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