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파리하면 많은 사람이 에펠탑, 개선문, 루브르, 센 강 등을 먼저 떠올리지만, 필자에게 파리가 특별한 도시로 인상 깊게 하는 곳은 바로 판테온이다. 파리 판테온은 살아생전에 인류와 프랑스를 위하여 헌신한 사람들을 모셔 놓은 '명예의 전당(신전)'으로, 입구에는 “조국이 위대한 사람들에게 사의를 표하다”는 문구가 새겨있다. 판테온을 '프랑스의 위인들을 안장한 국립묘지'(나무위키)로 소개하는데, 국립묘지는 맞지만 한국처럼 군인이나 경찰 등 공직에서 순직한 사람을 안장한 곳이 아니라, 학자·문인·예술가 등 일반인 가운데 프랑스를 빛낸 위인들을 모신 공간이다.

판테온 내부를 들어가 보면, 프랑스 정신이 무엇인가를 느낄 수 있다. 납골당 지하 입구에는 열린 공간에 루소와 볼테르가 마주보며 영면하고 있다. 그리고 크기가 다른 여러 방이 있어 빅토르 위고, 생텍쥐페리, 퀴리 부부, 에밀 졸라, 모네 등이 잠들어 있고, 상당한 공간이 앞으로 올 위인을 위해 빈 공간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또 중요한 것은 판테온이 위치한 장소이다. 판테온은 파리 중심가에 입지해 있고, 바로 옆에는 프랑스 명문 소르본 대학이 있다. 소르본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매일 판테온 앞을 지나며, 미래에 프랑스와 세계를 위해 공헌하여 자신도 이곳에 묻히는 꿈을 꾸며 공부를 할 것이다.

판테온은 단순히 위인을 모신 공간이 아니다. 바로 프랑스 미래들에게 삶의 롤 모델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우리의 삶의 롤 모델은 누구인가? 세종대왕, 이순신, 안중근, 홍범도 등 많은 위인은 듣고 배웠지만, 막상 내 삶과 연결하여 닮고 싶은 롤 모델을 찾기는 어렵다. 그런데 파리에는 이것을 일깨워주는 공간이 있다. 바로 판테온이다. 그것도 대학 옆에 학교를 오가는 미래들에게 국가와 사회를 위해 헌신하면 이곳에 올 수 있다는 꿈을 심어준다.

위대한 사회와 국가는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들을 존경하고 추앙하고 기념하는 시민사회가 형성되어야 위대한 사회와 국가도 만들어진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도 어느 도시에선가 위대한 작가, 예술가, 학자, 종교인 등 한국과 인류발전을 위해 공헌한 위인을 모시는 명예의 전당을 건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아직 여기에 눈을 뜬 정치지도자가 없는 것 같아 아쉽다. 파리는 품격이 있다. 루브르, 에펠탑, 개선문, 샹젤리제 거리 때문만이 아니라, 바로 판테온이 있어 타 도시와는 다른 품격이 있다.

▲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관련기사
[썰물밀물] 정책과정의 화이트박스와 블랙박스 최근 경기도 양평 고속도로 노선변경과 관련하여 정치권에서 공방이 거세다. 그런데 이 문제가 정치권 공방으로 번질 사안인지 의아스럽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고속도로 노선 결정은 교통량과 주행시간·거리, 환경영향과 건설비용 등 주로 공학과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결정되어 큰 잡음이 없었는데, 이번 양평 고속도로 문제는 정책 결정 과정이 뭔가 투명하지 않은 것 같다.정책과정은 일련의 시스템(system) 활동으로 환경과 끊임없는 투입과 산출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부는 환경으로부터 인력, 재정, 정보, 에너지 등을 투입받아 정책시스템 내부과 [썰물밀물] 김포 서울편입 논쟁(2) 집권 여당이 왜 갑자기 김포를 서울로 편입하자는 의제를 들고나왔는가? 글쎄, 대도시 광역권체제가 글로벌 대세이기 때문에 우리도 광역권 도시체제를 확립해 도시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논리라면 이해가 된다. 그런데 앞 칼럼에서 밝혔듯이 대도시 광역경제권과 광역행정체제는 별개 문제이다.한 번 생각해 보시라! 세계적 도시들 가운데 광역경제권역과 광역행정권역이 일치하는 곳이 어디 있는가를! 미국 뉴욕, LA,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어디에도 대도시 광역경제권역과 행정구역이 일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두 개념은 별개이기 때문이다. LA [썰물밀물] MZ세대의 도시사용법 얼마 전에 지인이 강력추천해서 영종도 을왕리에 있는 메이드림 카페와 동양염전베이커리를 다녀왔다. 두 곳 모두 예전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했던 공간을 리모델링해서 독특한 카페로 재탄생한 곳이다. 비즈니스 하기에 별로 좋은 장소가 아니었는데도 젊은 계층이 문전성시를 이루는 것을 보고는 뭔가 세상이 바뀌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역시 MZ세대들은 뭔가 다르다.MZ세대,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통틀어 지칭하는 신조어인데, 막상 MZ세대는 자신들을 하나로 총칭하는 이런 용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하기는 다양성과 차별성을 추구하는 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