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로컬테라피 조안생활사 연구

남양주 조안면 가옥들 관찰
발굴 등 3개의 축으로 구성
13개 마을 걸으며 예술 찾아
조안사, 문화 아카이브 구축

버려진 공간, 정원으로 탄생
11월까지 가드닝 작업 추진
1회성 아닌 조직화로 고도화

집은 사람을 담는다. 사람을 담은 집은 그곳에서 살아간 사람들의 삶도 고스란히 품는다. 남양주시 조안면의 가옥들은 곡선 아름다운 처마 끝 수많은 식솔을 꾸려나간 역사를, 전쟁 이후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으며 꿋꿋이 삶을 지켜온 지역민들의 치열한 인생을 담고 있다. 경기문화재단과 공공예술들로화집단은 조안면의 역사 그 자체인 가옥들을 면밀히 들여다보는 작업을 시작으로, 조안면의 생태와 역사,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예술인 자원을 활용해 생태문화예술 관광을 특화하는 '조안 오래오래-지붕 없는 박물관'을 진행했다.

▲ 조안면의 근대건축물에 집중해 아카이빙 한 ‘조안생활사’ 진행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 조안면의 근대건축물에 집중해 아카이빙 한 ‘조안생활사’ 진행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 '조안 오래오래' 세 개의 축, '발굴'

조안면의 '지붕 없는 박물관'은 세 개의 축으로 구성된다.

지역주민들과 생태·환경 문화자원을 찾아내는 '발굴'과 이를 통해 지역의 특색을 담은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생성', 사람과 장소를 연결해 지붕 없는 박물관의 기능을 높이는 '연결'이다.

우선 '발굴'의 핵심 프로젝트는 '피크닉(Picnic)'과 '픽업(Pick up)-조안생활사'로 나뉜다.

▲ 조안면의 근대건축물에 집중해 아카이빙 한 '조안생활사' 진행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 조안면의 근대건축물에 집중해 아카이빙 한 '조안생활사' 진행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지난 7월 워크숍을 시작으로 조안면의 지붕 없는 박물관 프로젝트 '조안 오래오래'가 시작되자, 지역 주민들은 7~10월 4개월간 조안면 13개 마을을 걸으며 지역의 문화예술 자원을 찾아내고 아카이빙하는 '피크닉'을 매주 금요일마다 진행했다.

▲ 류량 선생 사당 전경. 남양주시 조안면 지역 주민들은 7~10월 4개월간 조안면 13개리를 걸으며 지역의 문화예술 자원을 찾아내고 아카이빙하는 ‘피크닉’을 진행했다.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능내리 마재성지를 비롯해 송촌리 수종사·딸기농장, 조안리 오디농장, 시우리 류량 선생 묘 등 피크닉을 통해 발굴한 조안면의 유산들은 맵핑(Mapping) 작업을 통해 '조안문화예술지도' 속에 녹여지는 중이다.

조안면의 근대건축물에 집중해 아카이빙 한 '조안생활사'는 다양한 종류의 가옥과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 이야기를 기록하며 새로운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구축했다.

▲ 조안면의 근대건축물에 집중해 아카이빙 한 ‘조안생활사’ 진행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1961년에 지어진 삼봉1리 이장 '이석숙 가옥'부터 MBC 국민 드라마 '전원일기'의 배경이 된 '박호선 가옥', 경기도 문화유산 기증을 꿈꾸는 '김영경 가옥(박소재)', 조선후기 양반 가옥의 특징이 베어 있는 '운당' 등 '조안생활사'를 통해 모아진 조안면의 가옥들은 조안의 이야기를 가장 잘 담은 역사서로 재탄생했다.

▲ 남양주시 조안면 주민들이 ‘지붕 없는 박물관-조안 오래오래’ 사업의 일환으로 마을 공터에 ‘가드닝(Gardening)’을 통해 화단을 가꾼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 '조안 오래오래' 세 개의 축, '생성'

'조안 오래오래' 박물관은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활성화한 지역공동체를 생성하며 '치유'의 단계로 한 걸음 더 발전한다.

마을의 주민들이 함께 모여 버려진 공간이나 마을입구 등에 작은 정원을 만들고 철마다 가꾸는 '가드닝(Gardening)' 작업은 오는 11월까지 이어지며 조안면 구석구석을 주민들의 손길로 채우고 정신적 풍요로움까지 선사한다.

▲ 주민 강사와 생활 도예를 배우는 ‘로컬 테라피’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주민 강사와 생활 도예를 배우며 수다도 떨고 고민도 해결하는 '로컬 테라피'는 지역주민들의 소통 활성화에 예술적 행위를 개입하며 갈등을 치유해 나간다. 그릇과 잔등 같은 생활재 만들기를 중심으로 하지만, 각자 준비해온 반찬과 도시락을 나누는 '폿럭 파티(potluck party)' 등을 추가로 진행하며 자연스럽게 치유 프로그램으로 발전해나간다.

▲ 남양주시 조안면 주민들이 ‘지붕 없는 박물관-조안 오래오래’ 사업의 일환인 '그린아트 프로젝트'를 위해 팔당호 주변의 쓰레기를 줍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공공예술들로화집단

이밖에도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예술가와 시민들이 팔당호 주변의 쓰레기를 줍고 일부를 활용해 작품으로 제작, 전시까지 이어가는 '그린아트 프로젝트', 조안의 보물찾기 공모를 통해 우리 시대의 보물에 대한 실체적 접근을 보여주며 진정한 보물을 만들어가는 '보물찾기 프로젝트' 등이 이어지며 조안면의 지붕 없는 박물관을 보다 다채롭게 채워나갈 계획이다.

▲ 남양주시 조안면 주민들이 '지붕 없는 박물관-조안 오래오래' 사업의 일환인 '그린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한 모습.
▲ 남양주시 조안면 주민들이 '지붕 없는 박물관-조안 오래오래' 사업의 일환인 '그린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한 모습.

▲ '조안 오래오래' 세 개의 축, '연결'

조안면의 '지붕 없는 박물관'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사람과 장소, 모임 등을 연결하고 조직화하며 기능성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거점 공간인 해바라기협동조합을 활용하고, 다른 지역의 에코뮤지엄을 탐방하고 교류하며 조안만의 '오래오래' 이어지는 박물관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박지혜 기자 pjh@incheonilbo.com



관련기사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에코뮤지엄 살아 숨 쉰다 지역주민이 지켜나갈 유·무형의 자원들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경기에코뮤지엄'이 살아 숨쉬는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새롭게 탄생했다.▶관련기사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평화의 땅 DMZ 걸으며 전쟁 상흔 치유하다 ① 경기문화재단은 경기도와 함께 지난 3월 워크숍을 시작으로 오는 11월까지 지역 주민과 예술인이 협력해 지역을 해석하고 발전시켜나가는 '지붕 없는 박물관'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인천일보는 지역이 만드는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에코스테이 주민(Zoom-In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평화의 땅 DMZ 걸으며 전쟁 상흔 치유하다 ① 전쟁과 평화의 상징 DMZ(비무장지대)가 생태의 보고로 떠올랐다. 전쟁이 훑고 간 자리에 철새가 날아들고 씨앗이 싹트며 평화와 치유의 상징이 되었지만, 그 자리를 다시 사람이 차지하며 토종과 외래종이 뒤섞이는 생태계 교란이 재현되고 있다. 다변하는 DMZ의 생태는 역사 그 자체다. 경기문화재단과 DMZ 문화예술공간 통은 해마루촌을 중심으로 '지붕 없는 박물관' 사업의 일환인 '에코스테이 주민(Zoom-In)'을 진행하며 지역주민과 생태학자, 예술가와 함께 전쟁과 상처의 극복, 자연의 위대함을 통한 인간 [인터뷰] 이종희 남양주 공공예술들로화집단 대표 “젊은 세대가 생성·연결해야 할 작업” 오래된 고궁, 역사적 가치가 큰 유물, 유명인의 작품.우리가 '박물관'을 떠올릴 때 흔히 생각하는 것들이다.하지만 지역 사회에 살다 보면 기록은 하고 싶지만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 드는 콘텐츠들이 많다.이종희 남양주 공공예술들로화집단 대표가 조안면에 '지붕 없는 박물관' 사업을 도입하며 주목한 게 바로 이런 것들이었다.흔히 생각하는 '메이저'가 아닌, 너무나 익숙해서 하찮게 여겨지지만 근현대 생활사 자체인 지역의 생활사를 기록하고 저장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조안면의 '지붕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牛~牛~ 섬에 생태문화 바람이 분다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에 '우음도(牛音島)'가 있다. 섬에서 불어오는 바람소리가 소 울음소리와 닮았다 하여, 섬의 모습이 소 두 마리가 등을 마주하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이름 붙여졌다.면적 0.42㎢에 해안선 길이 2.4㎞인 우음도는 작지만 한 때는 37가구가 살고 분교가 있을 정도로 활기찬 섬마을이었다. 그러나 시화지구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교통이 닿으며 자연 환경은 크게 변하기 시작했다. 섬을 지키던 사람들도 하나 둘 떠나갔다. 이런 상황 속에서 우음도만의 생태와 문화, 자연 환경을 기록하고 조명할 목적으로 시작된 게 [지붕없는 박물관, 지역과 예술을 잇다] 지역 운영 노하우 모여 통신망 열렸다 경기문화재단의 2023 경기에코뮤지엄 '지붕 없는 박물관'이 한 뼘 더 가까워졌다. 물리적으로 넓은 면적을 지닌 경기도를 네 권역으로 나누고 활동팀 간 소통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장을 열었다. 그동안 전 지역에서 각자의 노하우를 쌓아온 '지붕 없는 박물관'은 거리의 한계를 뛰어넘고 경험의 영역을 확장하며 보다 넓은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있다.'지붕 없는 박물관' 네트워크 사업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활동단체들을 권역으로 묶은 4개 조로(경기 서북부, 서남부, 북부, 남동부) 나누어 진행됐다.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