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인천 5·3민주항쟁'이 인천 민주화 운동의 상징처럼 여겨진 지 오래다. 서슬 퍼렇던 군부독재 시절, 민주쟁취를 위해 구름 같이 모인 군중이 집회를 펼쳐서다. 그 성과는 정말 대단했다. 6월 민주항쟁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 등으로 이어지며 우리 현대사에서 굵직한 족적을 남겼다. 그럼에도 5·3민주항쟁이 관련법에 명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렇다 할 대접을 받지 못한 채 엉거주춤한 상태로 있었다.

그 민주항쟁이 마침내 37년 만에 '법적 지위'를 얻어 관심을 모은다. 그동안 여러 갈래로 입법을 추진했지만, 무슨 연유에선지 빠져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가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 범위에 인천 5·3민주항쟁을 포함하는 내용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안'이 지난달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기에 이르렀다. 2020년 6월 인천지역 국회의원 11명이 이 개정안을 공동 발의한 지 3년여 만에 이뤄진 결실이다.

인천 5·3민주항쟁은 1986년 5월3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 등 우리 사회 민주주의를 쟁취하고자 미추홀구 주안동 옛 시민회관 사거리에 시민·학생·노동자 등 5만여 명이 결집한 대규모 민주화 운동이다. 이들은 무자비한 공권력에 맞서 시내 여기저기서 집회를 벌여나갔다. 하도 최루탄을 마구 쏴대는 바람에 일대 주택과 상가 등지 주민들은 종일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할 정도였다. 기자 초년 때 집회 현장에 나가 어려움을 무릅쓰고 취재를 했던 기억이 문득 떠오른다.

군부독재 정권에선 인천 5·3민주항쟁을 보고 위기감에 휩싸인 듯하다. 민주화 운동을 벌이던 단체와 인사 등에 대한 탄압을 공공연히 저질렀다. 이 과정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이 발생해 전국민의 분노를 일으켰다. 결국 인천 5·3민주항쟁은 이듬해 펼쳐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으로 작용했다.

사실 전국 곳곳엔 민주화 운동 관련 시설이 들어선 상황이다. 광주시에선 5·18민주화운동기념관, 대구시에선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이미 자리를 잡았다. 부산시는 1999년 부마민주항쟁 20주년을 맞아 민주공원 안에 기념관을 지었고, 울산시는 지난해 울산지역 민주화 운동 사료를 보존·전시하는 수장고와 전시관을 마련했다. 대전시는 내년에 3·8민주의거기념관을 연다.

이제는 인천시와 정부가 답할 차례다. 인천에 민주화 운동 기념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힘을 쏟아야 한다. 인천 5·3민주항쟁이 국가 지정 기념일로서 법적 지위를 얻은 만큼, 그 의미와 정신을 공유하는 기념관 건립 등 후속대책을 세워야 할 터이다. 인천 5·3민주항쟁 역사를 기릴 수 있도록 지역사회도 지혜를 모으길 바란다.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인천 생태 하천의 지속가능성 지난달 장마에 따른 집중호우로 많은 인명·재산피해를 냈다. 하천 범람과 산사태 등으로 피해를 키웠다. 하천은 강과 시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국내 거의 모든 자치단체에 존재한다. 법률로는 관리주체에 따라 국가·지방하천으로 구별한다. 인천엔 30여 군데의 하천이 있지만, 하나 같이 '하천'답지 않다는 게 정설이다. 그래도 지난 폭우에서 보듯, 하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인천에선 나름 하천을 가꾸느라 분주하다. 실례로 부평구는 굴포천 생태 하천 복원사업 1단계를 곧 마무리하고 2단계에 착수한다. 부평구청부터 부평1동 행 [썰물밀물] '인천 성냥공장'의 역사 군대 시절 인천에서 왔다고 하면 고참들은 먼저 '짠물'이란 별명을 붙여줬다. 아마 인천이 천일염 주 생산지로 이름을 널리 알려서이리라. 곧 이어 노래 '일발장전'이 터져 나오기 일쑤였다. 노래 제목은 바로 '인천의 성냥공장 아가씨'. 인천인이라면 당연히 알고 있다는 듯이 재촉했다. “인천의 성냥공장 성냥공장 아가씨/하루에 한 갑 두 갑 낱갑이 열두 갑/치마 밑에 감추어서 정문을 나설 때/치마 밑에 불이 붙어∼(후략)” 민망한 가사 내용임에도 군대 용어로 '까라면 까' 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