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경기도교육감 공약 사항
모델학교 1차 모집 지원 '미달'
메뉴 늘어도 인력 보충은 없어
“실적 내기식 요식행위 불만도”

'경기도형 자율선택급식'이 교육 현장에서는 외면받고 있다. 인력 수급 문제와 잔반 문제, 공간 재구성 문제 등 정책 수행 당사자인 급식종사자와 교사들의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임태희 도교육감의 공약사항이었던 자율선택급식을 활성화하기 위해 일선 지역 교육지원청까지 일선 학교의 참여 독려에 나섰다.

2일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자율선택급식은 획일적 식단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기호와 건강을 고려하는 급식제도다. 임 교육감이 후보 시절부터 약속한 공약 사항 중 하나로, 지난해 11월부터 시범학교(10개교) 운영을 시작했다.

당초 도교육청은 시범학교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 4월부터 모델학교 75개교를 모집해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1차 모집에 지원한 학교는 69개교에 그쳤다. 이마저도 여러 음식을 제공하겠다는 취지에서 벗어나 단순한 과일·음료수 추가만으로도 자율선택급식으로 인정한 결과다.

현장에서 기피하는 주요 원인은 인력 보충 없이 급식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다.

메뉴 증가와 이에 따른 업무 증가로 인력 보충이 필요한데 정작 도교육청은 모델학교 운영교에 약속한 1억원의 예산에서 인건비 사용은 금지했다.

도 교육청은 현재 인력을 활용하되, 조리종사자들의 업무 경감을 위해서 자동화기기 구매나 급식실 환경 개선 등에만 예산을 사용토록 했다.

하남에 있는 한 중학교에서 근무 중인 영양교사 A씨는 “교육지원청으로부터 운영 제안이 왔지만 인력 문제 때문에 검토조차 않고 포기했다”며 “현재도 조리 인력 수급이 불안정해 10명 중 3명이 대체 인력이다. 현장에서 가장 힘든 건 시설적인 부분이 아닌 인력”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의 편식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안양의 교사 B씨는 “학생들이 직접 메뉴를 선택하다 보니 잔반이 너무 많이 나온다”며 “도교육청은 편식 문제를 영양·식생활 교과 연계 교육으로 해결하겠다고 했지만 교과시간만 활용해 편식 문제를 해결하는 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과밀·과대 학급처럼 물리적으로 자율선택급식을 위한 공간 마련이 어려운 학교들도 냉담한 반응을 보이자, 교육지원청까지 나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또 다른 교사 C씨는 “교육지원청으로부터 후식으로 나오는 과일 한두 가지, 음료 하나만 추가해도 선택급식학교로 인정할 테니 운영해달라는 요청도 왔다”며 “교육감의 공약사항에 실적을 내기 위해 요식행위를 하는 것처럼 느껴져 현장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현재 인력 구조상 사람을 쉽게 뽑아 쓸 수 없어 인건비를 투입하지 않는 대신, 노동 강도 완화나 동선 개선을 위한 기구비 지원을 하는 것”이라며 “업무를 경감하며 자율선택급식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델을 개발, 확대하려 한다”고 말했다.

/박지혜 기자 pjh@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