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신설되는 재외동포청 유치경쟁이 치열하다. 인천시를 비롯해 제주도, 광주시, 대전시 등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인천은 역사성, 접근성, 경제성을 고려할 때 재외동포청 소재지의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그런데 인천 10개 군·구가 사분오열된 모습으로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곤란하다. 민관정 모두 하나가 되어 염원해야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이룰 수 있다.

2월 27일 국회에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었다. 재외동포재단을 해산하고 중앙행정기관인 재외동포청 신설의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은 732만 재외동포의 권익 신장을 위한 재외동포청 신설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필자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민주당 간사를 맡으며 관련 법안이 추진될 수 있도록 여야 3+3 정책협의회에 적극 참여했다. 또한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해당 법안을 의결할 때 한창섭 행안부 차관에게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의 필요성을 강력히 전달했다. 지난 9일은 인천 국회의원들의 주관으로 유정복 인천시장과 함께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외교부 김민철 재외동포영사기획관, 행안부 조성환 청사시설기획관에게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재외동포는 모국인 한국과의 관계에서 상당한 역할을 한다. 통상경제의 주역이자 사회문화적 교류의 주체이며, 남북한 통일을 위한 역군이다. 국가정책에서 재외동포 정책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현재 외교부 장관이 재외동포 정책을 수립하고 외교부, 법무부, 교육부 등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즉 재외동포 업무가 분산되어 있어 비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수립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재외동포청의 소재지가 어디로 결정될 것인가가 초미의 관심사다. 외교부는 재외동포청의 소재지로 서울정부청사를 원한다고 한다. 지나친 행정편의주의적 관점이다. 재외동포와 재외동포청 유치로 인한 파급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인천은 재외동포가 국내·외 및 전국 각지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항공편 3시간 이내 거리에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 147개가 있다. 인천공항은 58개 국가, 189개 도시를 직항으로 연결한다.

재외동포청의 모격인 재외동포재단은 2018년부터 제주도에 있다. 재외동포는 민원 해결을 위해 인천공항에 내려 또다시 비행기를 타고 제주도로 가야 하는 불편함을 호소한다. 웨이하이, 단둥 등 중국 10개 도시를 연결하는 인천항 또한 인천이 가진 지리적 이점이다. 인천과 가까운 서울대 시흥캠퍼스에 재외동포교육문화센터 건립이 추진 중이다. 재외동포청이 인천에 위치한다면 재외동포 교육·네트워크 구축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도 낼 수 있다.

청라, 송도, 영종을 포함한 전국 최대규모의 경제자유구역(122.43㎢), 15개의 국제기구는 재외동포청이 인천시로 유치되어야 하는 다른 이유이다. 재외동포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 유치의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1902년 12월, 최초 이민자 121명이 인천 제물포항에서 하와이로 떠났다. 이러한 역사성을 기념하기 위해 대한민국 최초이자 유일한 한국이민사박물관이 인천 중구 월미도에 있다. 인천은 대한민국의 이민 역사가 시작된 곳이며, 디아스포라의 상징이다.

외교부 또한 인천이 가진 장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럽 한인총연합회, 우즈베크 고려인문화협회, 하와이 재미교포단체 등 또한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지지해 주고 있다. 인천 시민단체들도 합심하여 재외동포청 유치의 결의를 보여준다.

모든 것이 긍정적이다. 하지만 재외동포청을 인천 내 특정 지역에 유치하겠다는 정치적 발언은 자제해야 한다. 지금처럼 한마음 한뜻으로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염원하자.

/김교흥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 서구갑)



관련기사
[특별기고] 730만 재외동포의 마중물 '인천' 인천은 재외 동포들의 유입과 정착이 이어지고 있는 다문화 도시이다. 외지 출신도 많아 충청을 비롯한 영남, 호남, 이북5도 등 출신지역이 다양하게 분포돼 작은 한반도라는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고도 한다. 한국전쟁을 거치며 북한으로부터 피난민들이 대거 유입됐고, 남한 각 지역에서 이주해 와 근대화를 이뤘다. 이제 국제도시 인천이 재외동포를 맞이해야 한다.인천은 구한말 첫 이민의 출발지였으며, 근대문명의 초입지였다. 대한민국이 경제개발 단계에서 인력 송출 국가로서의 지위를 유지해 왔지만 이제는 이주자들을 포용하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특별기고] 재외동포청 역사성·장소성 갖춘 인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늙어가는 국가'다. 일본보다 더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 소멸위기에 처했다. 출산을 독려하는 국가 총력체제를 갖춰야 하고 이주민에게도 우호적으로 문을 열어야 할 때다. 항만도시 인천은 이런 역할을 너무도 잘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췄다.역사적으로 개방성, 역동성, 포용성이 넓고 큰 도시다. 동양 최대의 갑문(내항 제1갑거)이 1918년 완공된 이후 인천항은 산업화의 중추기능을 맡았다. 문화강국을 염원한 백범 김구 선생이 1914년 인천감리소에 투옥됐을 때 갑문 건설 노역에 동원됐 [특별기고] 재외동포청, 인천에 있어야 하는 이유 월미도에 가면 한국이민사 박물관이 있다. 1902년 12월 22일 인천 내리교회 교인 121명이 하와이로 가기 위해 탑승한 상선 갤릭호를 재현해 놓았다. 그 이후로 인천항을 통해 하와이로 간 7415명의 명단이 벽에 붙어 있다. 이민의 역사는 인천을 빼놓으면 설명이 안 된다.그로부터 121년이 지났다. 지금 해외에 나가 있는 우리 동포는 730만 명이 넘는다. 정착하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늘 고국을 생각하며 독립운동을 하기도 하고 독립자금을 보내기도 했다. 나라를 떠나면 더 애국자가 된다는 말을 실천하신 분들이다. 이분들은 대통령 [특별기고]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 시민·민간기업 적극 나서야 재외동포청은 인천에 둬야 한다. 대한민국 근대 이민사의 출발지로서의 상징성, 현재 관문도시로서의 우수한 입지와 교통 편의성, 재외동포 사회와 함께 초일류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미래 발전성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그럼에도 제주는 재외동포재단이 제주에 있었기에 재외동포청으로 승격된 뒤에도 남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광주는 고려인 4000여 명이 거주한다는 이유로, 세종은 정부청사가 있어서, 대전은 재외동포청이 청 단위이기 때문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외교부는 사용자 접근성을 고려해 광화문 청사 근처로 가져가겠다고 언론에 흘렸다. 외교부 [특별기고] 재외동포청, 역사도 입지도 인천이 최적지 오는 6월 공식 출범하는 재외동포청 유치를 둘러싼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하다. 인천 역시 일찌감치 유치전에 뛰어든 가운데 역사성·문화성·접근성·경제성 등 모든 면에서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먼저 한국 이민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자. 한국 최초의 공식 이민은 1902년 12월 제물포에서 이뤄졌다. 당시 하와이에 사탕수수농장이 본격적으로 들어서면서 121명의 한국인이 사탕수수농장에 일하러 하와이 호놀룰루로 떠났다.여기서 잘 알려지지 않은 중요한 사실 하나가 더 있다. 이렇게 하와이로 건너간 동포들 성금으로 설립된 학교가 바로 인하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