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와 씨름 한 판…'완배지기' 막판 승부
시골 마다 구전 이야기 각색…삽화 더 해
▲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 정세랑 글·최영훈 그림, 창비, 78쪽, 8800원.

외가는 읍내서 한참을 가야 했다. 큰 산의 끝자락에 자리한 곳, 바다가 앞에 있어 겨울이면 매섭다. 남쪽나라지만 눈도 많이 왔다. 겨울밤 외사촌 형님, 누이들과 큰솥 걸고 고둥이며 소라, 배꼽조개 등을 삶아 먹었다. 길고 긴 밤, 들었는지 창작인지 분간할 수 없는 괴기스러운 얘기가 오갔다. 이불 속에서 벌벌 떨며 눈만 내밀고 귀를 쫑긋했다.

명희누나가 옆집 숙모한테 들었다며 손짓 발짓을 더 해 도깨비 씨름 이야기를 했다. 한밤중 안골을 걷던 저 마을 아재가 파란 불빛에 홀려 숲길을 헤맸다. 한참을 걷다 한 남자를 만났고, 그는 씨름으로 날 이기면 큰돈을 준다고 내기를 걸었다. 평소 힘이라면 자신 있던 아재가 내기에 응했고, 샅바 싸움부터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그렇게 한참이 지났다. 먹색 하늘이 푸르스름하게 변하며 동녘이 빨개질 즈음 안골 삼촌은 한 아름 나무를 부둥켜안고 힘겨루기 중인 아재를 만났다.

도깨비 씨름 이야기는 시골마다 구전된다. 다른 각색으로 재미를 더하지만, 맥락은 대동소이하다.

겨울방학이 지났다. 개학했지만, 다시 봄방학이다.

직장인, 사회인보다 더 바쁜 학생들에게 '책' 읽으라는 조언은 잔소리다. “책에서 길을 찾고 마음의 양식을 쌓으라”는 말은 소귀에 경 읽기다. 거창한 책을 권하기보다, 책과 친해지는 과정이 중요하다.

정세랑 소설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은 그런 책이다. 나온 지 4년 됐고, 80페이지 남짓에 삽화까지 더해져 시간 쪼개 읽기 그만이다. 동화에서 소설로 가는 징검다리 같다. 그렇게 '소설과의 첫 만남'이 시작된다.

열살이 되기 전 이미 60㎏ 넘은 나, 주변사람의 “젖살일 뿐이야, 키가 크려고 그래, 나중에 몰라보게 변할 거야”라는 말에 “거짓말쟁이들이 지겨워서 모른 척 말고 못 본 척을 해 주었으면 했다”는 속내를 보인다. 할머니는 그저 먹는 나를 말리지 않았을 뿐으로, 덩치가 큰 주인공은 학교 씨름부에서 단연 인기다.

변변찮은 성적에 씨름을 내려놓고 아르바이트로 찾은 곳, 홍대 인근에서 가장 큰 건물 '청기와 주유소'다. 주유소 점장님이 나에게 도깨비와의 씨름 내기를 제안한다. 씨름은 시작됐고, 해가 뜨기 직전 음악도 꺼진 홍대의 어스름 속에 도깨비는 신중했다. 도깨비가 중심을 무너뜨렸다. 나는 이미 다 기울어 있었던 허리로, 알고 있긴 했지만 실전에선 한 번도 쓴 적 없는 기술을 썼다. 완배지기다. 결과는 어땠을까. “씨름 선수로서 내 마지막 기술은 아름다웠다. 신경질적으로 아름다웠다.”

커가며 접한 작가와 시간 흐름에 맞춰 그가 펴낸 책을 펼쳐보는 것은 낙이다.

그런 작가가 몇이나 될까. 귀한 곶감 빼먹듯, 편애하는 작가의 책을 책꽂이에서 꺼내보는 짜릿함을 봄방학을 맞으며 느끼길 바란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책] 별난 사람 별난 이야기, 조선인들의 들숨과 날숨 100년을 뛰어넘은 대화.1921년 식민 지식인 송순기 선생이 펴낸 <기인기사록>이 한 세기를 넘어 휴헌(休軒) 간호윤 교수가 다듬어 <별난 사람 별난 이야기, 조선인들의 들숨과 날숨>으로 재탄생됐다.간호윤 교수는 11일 “식민지 시대, 일제는 우리의 혼과 정신을 말살하려 했고, 송순기 선생의 <기인기사록>도 세상에 빛을 보기 어려웠다”며 “이번에 이 중 일부를 선정하고 해설을 붙여 <별난 사람 별난 이야기>로 간행했다”고 말했다.<기인기사록>은 1921년 12월 나왔다. 송순기 선생은 일제의 식민 통치가 본격화되던 1920년대 민 [책] 길을 묻다 가천대학교는 이길여 총장의 삶을 담은 회고록 '길을 묻다'가 출간됐다고 11일 밝혔다.회고록은 이 총장이 미국 유학을 다녀온 뒤 국내 최초의 여의사 의료법인을 세우고, 의료·교육·문화·봉사 등을 아우르는 '가천길재단'을 세우는 과정을 담고 있다.이 책은 '남산의 부장들' 원작자인 김충식 가천대 교수가 2년간 대담을 거쳐 엮어낸 회고록이다.김 교수는 이 총장의 삶의 궤적과 시대적 상황을 비교해 세세한 기록으로 남겼다.이 총장은 이리여고와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의 메리 이머큘리트 [책] 내가 읽는 그림 최근 한 작품을 봤다. '아빠가 사준 바나나'. 별것 없다. 검은 바탕에 쓱쓱 바나나 두 송이가 그려 있고, 오른쪽 끝에 대문짝만하게 작가 이니셜이 새겨 있다. 가로 40㎝에 이르는 그림으로, 아크릴 물감을 사용했다. 작품이라 부를 수 있을까.명작은 시대를 초월하고 공간을 지배한다. 하지만 세계가 극찬하는 대가의 작품이라도 내 가슴이 뛰지 않고 감동이 없다면 '나만의 명작'은 될 수 없다.<내가 읽는 그림>은 '숨겨진 명화부터 동시대 작품까지 나만의 시선으로 감상하는 법'이란 부제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