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세상 이치를 파악하는데 하나가 상수리(象數理)이다. 상수리는 앞일을 미리 보여주는 ‘징조[象]’와 비밀코드를 풀 수 있는 ‘숫자[數]’ 그리고 상∙수를 바탕으로 그것을 해석하는 ‘이치[理]’를 말한다. 즉 세상만사는 각자 고유한 상(象)이 있으며, 그것은 수(數)로 이루어져 있어 상과 수를 알게 되면 이면에 담긴 이치(理)를 알 수 있다는 말이다. <주역>을 다른 말로 상수학(象數學)이라 한다. 그래서 <주역>을 공부하게 되면 세상 이치의 ‘한소식’을 들을 수 있다.

그런데 상수(象數)도 알기 어렵지만, 리(理) 또한 만만치 않다. 이치만 터득하면 그야말로 도사급 반열에 오를 수 있다. 상수리의 다른 표현이 바로 ‘격물치지(格物致知)’다. 사서 중의 하나인 <대학(大學)>에 보면, 격물치지는–격(格)은 이를 격, 물(物)은 만물 물, 치(致)는 이를 치, 지(知)는 알 지자로–선비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사물의 이치를 깊이 궁구하면 완전한 지식에 이를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사물을 가까이 그리고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사유함으로써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대학>에 보면 “사물의 이치를 알아야(格物) 지식에 이르게 되고(致知), 지식에 이른 후에야 뜻을 세워 정성을 들일 수 있으며(誠意), 성의를 다해야 마음이 바르게 되며(正心), 마음이 바르게 되어야 수신(修身)이 된다. 수신이 되어야 집안이 가지런해지며(齊家), 집안이 가지런해진 뒤에야 나라가 다스려지며(治國), 나라가 다스려진 연후에 평천하(平天下)를 할 수 있다”고 한다.

격물치지 하면 가장 먼저 화담 서경덕(徐敬德, 1489~1546) 선생이 떠오른다. 선생은 황진이의 유혹을 물리친 일화로 유명하며, 박연폭포, 황진이와 더불어 송도삼절로 일컬어진다. 그의 어머니가 공자의 사당에 들어가는 꿈을 꾸고 낳아서인지 어릴 적부터 총기가 남달랐다고 한다. <화담집>에 보면 어렸을 적 나물을 캐러 가면 매번 늦게 돌아오는데 정작 바구니에는 반도 못 채워져 있는 것이 아닌가? 이상하게 여긴 어머니가 까닭을 물으니 “종달새에 정신이 팔려 나물을 캐지 못했습니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 “이틀 전에는 어린 종달새가 한 치쯤 날아오르더니 어제는 두 치를 날아올랐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세 치쯤 날아올랐습니다. 왜 그런지 그 이치를 생각하느라 나물 캐는 것도 잊어버렸습니다.” 나중에 선생은 종달새가 가벼운 깃털로 하늘을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지기(地氣, 땅에서 솟아오르는 기운) 즉 따뜻한 봄날의 상승 기류(아지랑이)에 의해 쉽게 날아오른다고 이치를 설명하였다. 이처럼 선생은 모든 사물을 그냥 지나치는 일 없이 관찰하고 깊이 궁리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14세 때 서당에서 태음력의 일(日)∙월(月) 운행도수에 관한 <서경>의 구절을 읽는데 훈장도 배우지 못했고, 또 이치를 아는 자가 드물 것이라며 그냥 지나치는 것이 아닌가. 그러자 선생은 며칠 동안 밤낮은 물론 침식조차 잊은 채 몰두하여 보름째 되던 날 그 역법(曆法)의 이치를 깨달아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고 한다. 18세 때는 <대학>의 ‘격물치지’를 읽다가 “학문을 하면서 먼저 격물을 하지 않으면 글을 읽어서 어디에 쓰리오!”라고 탄식하고 천지만물의 이름을 벽에다 써 붙여 두고는 날마다 힘써 연구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서화담은 사물을 탐구하는 격물에 치중하여 앎의 궁극에 이르는 격물치지로 자신만의 학문 세계를 완성하여 갔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객관적 사물을 바로 보기 위해서는 선입관을 버리고 정심(正心)으로 집중하는 마음가짐이다.

/한태일 한역(韓易) 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5. 수(數)가 돈이다 수(數)가 돈이다! 숫자에 도통하면 부자가 될 수 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사람 팔자를 다른 말로 운수(運數)라고 하는데, 사람 팔자는 “얼마나 수(數)를 잘 핸들링(運)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예컨대 로또복권도 숫자놀음 아닌가. 숫자 6개만 잘 고르면 팔자를 고칠 수 있지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이던가. 그래도 보통 사람들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다. 단 끈기와 인내심으로 버텨낼 수 있다면. 얼마 전 25년간 매주 같은 번호를 고집하여 마침내 3800억 원의 잭폿을 터뜨린 한 미국인의 뉴스를 보았다. 그야말로 '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4. 남들이 열 번 하면 나는 천 번을 해서라도 이제 며칠 후면 새해가 밝아온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멋진 계획을 세운다.하지만 며칠 지나다보면 작심삼일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필자 또한 마찬가지다. 그럴 때마다 심지(心志)가 굳지 못한 걸 후회하며 되새기는 글귀가 있다. “남들은 한 번에 할 수 있는 일도 난 백 번을 하며, 남들이 열 번해야 익숙해지는 일은 난 천 번을 해서라도 그렇게 한다(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이렇게 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다. 그런데 <중용(中庸)>의 이 글귀를 몸소 보여준 인물이 있었으니 전설적 독서광인 김득신(金得臣,1604~1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3. 세상을 보는 눈, 상수리(象數理) - 수(數)(1) 오늘은 세상을 분석하는 3가지 수단[象數理] 중 하나인 '숫자(數)'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분은 수(數)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세상은 수(數)로 되어있다. 그걸 알려면 우리 삶이 얼마나 숫자와 밀접한가를 살펴보면 된다. 우린 태어나면서부터 숫자로 시작한다. 태어난 날인 생일, 신생아의 신장과 체중의 수치, 주민등록번호, 학창시절의 학번과 군대의 군번도 모두 숫자다. 휴대폰 번호와 온라인 계정들의 비밀번호에도 숫자가 들어간다. 모든 경제행위들이 숫자로 되어 있다. 통장 속의 잔고, 회사의 매출, 주식의 시세도 숫자로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2. 세상을 보는 눈, 상수리(象數理) - 상(象) 벌써 가을이다. 무엇이 그리 바쁜지 세월 가는 줄 모르지만 시간은 어김없이 계절의 속살을 드러내준다. 요즘 같은 가을의 상수리(象數理)는 무엇인가? 가을의 상징(象)은 낙엽, 열매 등이며, 숫자(數)는 4·9, 이치(理)는 풍요, 결실로 요약할 수 있다. 현대과학은 ‘시간의 비밀’을 풀고자 한다. 우주가 대폭발로 시작되었다는 ‘빅뱅(Big Bang)이론’도 우주 탄생의 시간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들은 시간의 실체를 알지 못한다.그런데 <주역>은 시·공간을 실감나게 설명해준다. 주역(周易)이란 말 자체가 ‘주(周)’는 공간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1. 그 보따리 속에 무엇이?(2)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천차만별이다. 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역학(易學)에서 미래예측의 방법 중 하나가 '상수리(象數理)'다. 유·무형의 상(象)과 그 형상 속에 담긴 수(數)를 파악하여 다가올 일을 예측(理)한다는 것이다.먼저 형상에 대한 설명은 '부시맨'이라는 영화이야기로 해보자. <부시맨>은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에서 살아가던 부시맨 부족 마을에 어느 날 비행기 조종사가 떨어뜨린 콜라병 하나로 인해 갖가지 해프닝이 벌어지는 코미디영화이다. 난생 처음 보는 문명세계의 산물인 코가 콜라병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7. 누런 치마이니 크게 길하다 다가오는 미래를 알아보는 방법의 하나가 상·수·리(象數理)다. 그런데 말이 쉽지 일반인들이 상수리를 캐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상수리를 담고 있는 <주역>을 공부하는 것이다. <주역>은 앞일을 예측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이다. 마치 워게임(war game)에서 시뮬레이션을 돌려 승패를 예측해보듯 주역점(周易占)도 마찬가지다. 즉 점을 쳐서 괘(卦)와 효(爻)를 뽑아보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점괘를 해석하는 것인데 오죽하면 ‘꿈보다 해몽’이라 했겠는가. 괘와 효의 글이 뜬구름 잡는 식으로 서술되어 해석하는 사람마다 백 [한태일의 주역이야기] 48. 신비한 숫자배열, 마방진(Magic Square) 숫자만큼 재미있는 이야기도 없을 것이다. 오늘은 마방진(魔方陣) 이야기다. 마(魔)는 신비롭다는 뜻이고, 방(方)은 사각형을 의미하고, 진(陳)은 줄지어 늘어선다는 말이다. 마방진이란 정사각형에 1부터 차례로 숫자를 적되, 중복하거나 빠뜨리지 않고 가로, 세로, 대각선 숫자들의 합이 모두 같도록 만들어진 숫자 배열이다.마방진의 기원은 낙서(洛書)에서 유래하였다. 낙서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우리 고대 역사책 <태백속경>에 의하면, “단군왕검께서 희귀한 금거북이를 잡아서 등에다가 낙서를 써서 바다에 띄워 보내며 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