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발생량, 처리 가능량 초과
시, 증설 등 정확한 입장표명 없어
“기초단체와 협력, 대책 적극 모색”
송도소각장.
▲ 송도소각장.

인천시가 송도소각장과 관련해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소각장이 처리할 수 있는 용량보다 폐기물 발생량이 훨씬 웃도는 상황에서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기는 계속 다가오는 중이다. 어쩔 도리 없는 시가 결국 증설 카드를 만지작거릴지 이목이 집중된다.

인천시 현대화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결과에 따르면, 오는 2025년 기준 예상인구와 폐기물 발생원단위를 고려할 때 인천의 소각 대상량은 하루에 1086t으로 추정된다. 계절적 요인과 폐기물 발열량 등 기타 변수에 대응해 10%의 시설 여유율을 고려할 때 소각시설 필요용량은 1744t이다.

그 가운데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 간 공동 협약'에 따라 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맞춰 송도 소각장(남부권 자원순환센터)을 이용하는 연수·남동·미추홀구의 소각 대상량은 각각 142·188·145t으로 총 475t이며, 소각시설 필요용량은 762t이다. 송도 소각장의 승인 용량은 444t에 불과하다.

이에 시는 소각장 가동 일수를 기존 300일에서 365일로 늘리고 3개 구의 폐기물 감량화 정도를 고려해 새롭게 산출했다. 하지만, 소각시설 필요용량은 여전히 송도 소각장 승인 용량 444t을 훨씬 웃도는 645t으로 추정됐다.

이런 상황이지만 시는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약 200t을 어쩔 것인지에 대해서는 속내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

시는 조만간 결과가 나올 예정인 '친환경 자원회수시설 설치를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에서 정확한 초과량을 일단 확정해 본다는 정도의 대응만 하고 있다.

시가 정확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아 소각장 증설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불안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쓰레기 처리에 대한 책무가 일차적으로 군·구에 있는 만큼 구와 협력해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 보겠다”면서도 “소각 대상량을 줄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는 만큼 잔여 필요용량만큼의 확충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변성원 기자 bsw90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사설] 소각장, 손발 안맞는 인천시와 환경공단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2026년이면 금지된다.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한까지 겨우 3년밖에 남지 않았는데, 인천시가 추진해온 인천 내 소각장 신증설 사업은 전혀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소각장은 대표적인 혐오시설로 주민 반발이 커 시 당국으로선 주민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장과 군수·구청장 광역·기초의원이 주민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시민 삶과 직결된 소각장 문제에 대해 여태껏 정책 방향 및 실행 계획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은 무능과 책임 방기라 할 수 있다.여기에 더해 인천환경공단의 최고 책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