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방금 김윤아의 노래 <키리에>를 틀었습니다. “쉴 새 없이 가슴을 내리치는 이 고통은 어째서 나를 죽일 수 없나/ 가슴 안에 가득 찬 너의 기억이, 흔적이/ 나를 태우네, 나를 불태우네// 울어도 울어도 니가 돌아올 수 없다면/ 이건 꿈이야, 이건 꿈이야, 꿈이야/ 불러도 불러도 너는 돌아올 수가 없네/ 나는 지옥에, 나는 지옥에 있나 봐…….” 타인의 고통에 음악으로 공감하려 한다는 가수의 진심이 가슴을 울립니다. 키리에 엘레이손,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서양에서 11월은 만성절로 시작한다지요. 매해 11월 1일은 모든 성인과 성인이 미처 되지 못한 분 모두를 기리는 날이라 들었습니다. 평생 교회사를 연구하신 분 말씀이, 만성절은 1년 중 가장 축복이 많이 내리는 날이라고 합니다. 모든 수호성인이 축복해 줄 테니까요. 만성절을 국경일로 정한 나라도 여럿이라고 하더군요. 그러나 2022년 만성절 아침 우리는 슬픕니다. 울어도 울어도 니가 돌아올 수 없다면 이건 꿈이야, 이건 꿈이야, 꿈이야 불러도 불러도 너는 돌아올 수가 없네 나는 지옥에, 나는 지옥에 있나 봐…….

11월은, “돌아가기엔 너무 많이 와버렸고/ 버리기에는 차마 아까운 시간”(나태주 시인의 <11월>)입니다. “11월 들판에/ 빈 옥수숫대를 보면 나는/ 다가가 절하고 싶습니다/ 줄줄이 업어 기른 자식들 다 떠나고/ 속이 허한 어머니……”(윤준경 시인의 <11월의 어머니>) 11월의 어머니들이 웁니다. 울어도 울어도 니가 돌아올 수 없다면 이건 꿈이야, 이건 꿈이야…….

정호승 시인이 <수선화에게>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 거 기억하지죠?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 / 산 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번씩 마을로 내려온다/ 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 퍼진다”

우리나라에서 11월 1일은 시의 날입니다. 세계에서 시의 날을 정한 나라는 한국이 처음이라 들었습니다. 1987년부터 지키고 있다더군요. 애도의 기간인지라 침묵하는 것이 도리이겠습니다만, 뭐라도 써야 하는 처지라서, 마음 아픈 이들을 생각하면서 기억을 더듬어 노래 가사와 시 몇 편 어쭙잖게 옮겨 적었습니다. 무얼 바라겠습니까. 그저 지나가는 가을바람 소리로 여기시면 됩니다. 저는 <키리에>나 더 듣겠습니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사진 신부'를 선택한 독립운동가 차인재 1920년 6월 수원의 항일 비밀결사 단체인 구국민단이 조직되었을 때 차인재는 교제부장을 맡았다. 차인재는 당시 삼일학교 교사로서, 삼일학교 출신들이 구국민단에서 활동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차인재 자신도 삼일학교 1회 졸업생으로서, 이화학당을 나와 모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다. 구국민단이 왜경에 발각된 후 차인재는 매우 파격적인 선택을 한다. 사진 신부로 미국행을 택한 것이다.미주 지역의 한인 노동자와 본국 여성 사이의 사진혼인은 1910년 말쯤 시작되었다. 호남 출신 여성이 하와이 이민자와 사진으로 부부의 연을 맺은 것 [썰물밀물] 나무를 심은 사람, 나무를 심은 도시 <나무를 심은 사람>의 주인공 양치기 노인은 말없이 매일 매일 도토리를 땅에 묻어 나간다. 이야기 속 시간이 30년 정도 흘렀을 때 남부 프랑스의 황무지는 울창한 숲으로 변해 있었다. 양치기가 묻은 도토리들이 아름드리 상수리나무로 자라나고, 숲이 되살아나면서, 새와 물고기 그리고 동물들까지 돌아오는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인심이 사나워질대로 사나워져 아예 사라져 버렸던 마을에도 아이들 웃음소리가 되돌아왔다. 프랑스 작가 장 지오노의 1953년 작 <나무를 심은 사람>은 언제 읽어도 흐뭇하다.평택시가 지난 3년 간 도시숲 가꾸기에 꽤 [썰물밀물] 안산원곡초에 보내는 갈채 안산원곡초등학교는 전교생의 98%가 이주배경 어린이다. 부모나 자신이 이주한 경험이 있을 경우 이주배경 어린이로 분류된다. 전국에서 가장 비율이 높다. 이 학교 수학수업 시간에는 선생님이 두 분 들어온다. 한국어 선생님과 러시아어 혹은 중국어 선생님. 소통과 이해를 돕기 위해서다. 또한 학생들 수준 차가 커서 수준별 수업도 진행한다. 안산원곡초등학교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올해 새롭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모델(수업모형)을 직접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다문화 초등교육의 선두주자답다. 박수갈채를 보낸다.원곡동이 &#